형태소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695

STNet ID : 1001043

한자 : 形態素
동의어(UF) : 어소(語素)
동의어(UF) : 형태부
동의어(UF) : 늣씨
영어 : morpheme
기타 : 语素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문법 단위 () [ 文法單位 ]

N1:종류

hasKind (종류)

 

 

실질 형태소 () [ 實質形態素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형태소 [ 文法形態素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굴곡 접사 () [ 屈曲接辭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공 형태소 () [ 空形態素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소 [ 意味素 ]

hasPhenomenon (현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변동 규칙 [ 變動規則 ]

hasState (상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모음 교체 () [ 母音交替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형태소 분석 () [ 形態素分析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합성어 () [ 合成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교착성 [ 交着性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태론 () [ 形態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법 [ 派生法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조어법 [ 造語法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접사 () [ 接辭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 접사 () [ 派生接辭 ]

Эрдэмтэн-зохиолч Б.Ринчений зохиолууд дахь “-хан, -хэн, -хон, -хөн” бүтээврийн найруулгын үүргийг ажиглавал

Toward the observations on the stylistic functions of morphemes “-хан, -хэн, -хон, - хөн in the literary works of Rinchen Bayambiin as a literati

몽골학 | 31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A Study on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A Rearch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Chinese Parts of Speech with Functional and Alterable System by Analyzing 'Qubieci'

중국문학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A Rearch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Chinese Parts of Speech with Functional and Alterable System by Analyzing 'Qubieci'

중국문학 | 62 | | 2010 | 중국어와문학

평안북도 운전지역어의 서법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ood of Unjeon(운전) dialect in Pyeonganbuk-do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안북도 운전지역어의 서법에 대하여

A Study on the mood of Unjeon(운전) dialect in Pyeonganbuk-do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번역문체 판별의 어휘적 준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형태주석 말뭉치‘의 어휘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Analysis for Discriminating the Translating Style of Daehanmaeilsinbo's Korean Editorials: Focusing on Vocabulary of Annotated Corpus

언론정보연구 | 48 | 1 | 2011 | 신문방송학

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벤포드 법칙: 원리와 응용

Benford's Law in Linguistic Texts: Its Princi- ple and Applications

언어와 정보 | 14 | 1 | 2010 | 언어학

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벤포드 법칙: 원리와 응용

Benford's Law in Linguistic Texts: Its Princi- ple and Applications

언어와 정보 | 14 | 1 | 2010 | 언어학

중국어 敬語표현의 유형과 사용법 소고

Observations on the use of polite expressions and the use of respect words in modern Chinese

중국학 | 38 | 2011 | 기타중문학

전산 형태론에서의 형태소 분석- 형태론의 전산학적 활용과 그 한계-

The Morpheme Analysis in the Computational Morphology-Centering around the Computational Application of Morphology and its Limits-.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산 형태론에서의 형태소 분석- 형태론의 전산학적 활용과 그 한계-

The Morpheme Analysis in the Computational Morphology-Centering around the Computational Application of Morphology and its Limits-.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ㅂ쇼, -ㅂ시고, -(으)십사’에 대하여 - 형태 분석과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ding complexes ‘-psyo’ ‘-psigo’ ‘-(ɨ)sipsa’ in modern Korea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의 형태론과 음운론

The Morphology and Phon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진단학보 | 115 | 2012 | 역사학

국어 형태소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A Study on Some Problems with the Morpheme of Korean.

언어과학연구 | 57 | 2011 | 언어학

공형태소와 형태 분석에 대하여

On the Empty Morpheme and Morpheme Analysis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형태소와 형태 분석에 대하여

On the Empty Morpheme and Morpheme Analysis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태소와 문법 기술

‘Morpheme’ and Linguistic Descriptio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태소와 문법 기술

‘Morpheme’ and Linguistic Descriptio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