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686

STNet ID : 2000022

한자 : 形態論
영어 : morpholog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태변화 [ 形態變化 ]

S:동의

UF (비우선어)

 

 

어형론 [ 語形論 ]

UF (비우선어)

 

 

형태학 [ 形態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학 () [ 言語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일어 형태론 [ 獨逸語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형태론 [ 國語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프랑스어 형태론 [ --語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일본어 형태론 [ 日本語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영어 형태론 [ 英語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러시아어 형태론 [ --語形態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어 () [ 單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태소 () [ 形態素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동반 격 [ 同伴格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절단 [ 切斷 ]

Грамматические ошибки в письменной речи голландских студентов, изучающих русский язык

Grammatical errors in the written speech production of Dutch students learning Russian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바라밀다(PĀRAMITĀ)의 형태론적 어원 분석들과 그 실제적 가능성에 대하여

A Morphological Study on Etymology of PĀRAMITĀ

남아시아연구 | 17 | 2 | 2011 | 지역학

문장부호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Korean punctuation ma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Unaccusativity and Derivational Morphology in a Second Language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Unaccusativity and Derivational Morphology in a Second Language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영어 대비 한국어 인간유형화의 특징

Features for Categorizing Human Types in Korean in Contrast to English

통번역학연구 | 15 | 2011 | 통역번역학

국어학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past 60 years a Study of Korean linguistic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이’ 파생 명사의 다의 형성

Polysemy of Deverbal Nouns in ‘-i’(이)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함북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

A Study on Declarative Endings in Yookjin Dialects of Hambuk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국문학』 60년 - 국어학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with reference to the pap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경셩백인백색>의 形態論的 考察

Morphological Study Of The 「Kyeong Syeong Baek In Baek Saek(경셩백인백색)」 - Focusing On the Declensions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경셩백인백색>의 形態論的 考察

Morphological Study Of The 「Kyeong Syeong Baek In Baek Saek(경셩백인백색)」 - Focusing On the Declensions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형태론적 정보를 활용한 만 3세 아동의 타인행동 모방능력

Preschoolers’ Ability to Use Morphological Information When Imitating Others’ Actions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24 | 4 | 2011 | 심리과학

現代韓国語における混成語形成の形態論

현대한국어에 있어서 혼성어 형성의 형태론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現代韓国語における混成語形成の形態論

현대한국어에 있어서 혼성어 형성의 형태론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관상학적’ 역사고찰과 문화변동 -오스발트 슈펭글러의 「서구의 몰락」을 중심으로-

Die 'physiognomische' Geschichtsbetrachtung und Kulturwechsel -In Bezug auf Oswald Spenglers Der Untergang des Abendlandes

독어교육 | 50 | 50 | 2011 | 독일어와문학

Die Entwicklungen der Staemme auf –ŏ und –iŏ im Altrussischen

고대러시아어에서 –ŏ 와 –iŏ 어간의 발달 과정 연구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Die Entwicklungen der Staemme auf –ŏ und –iŏ im Altrussischen

고대러시아어에서 –ŏ 와 –iŏ 어간의 발달 과정 연구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Die Entwicklungen der Flexion der Zahlwoerter im Altrussischen

고대러시아어 숫자의 변화과정 고찰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형태론에서의 교체 현상: 복합적 의미표현방식으로서의 이형태

Alternation in Morphology: Allomorphy as a Complex Signification Mode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Arguments and Adjuncts in Morphology

언어과학 | 17 | 2 | 2010 | 언어학

Arguments and Adjuncts in Morphology

언어과학 | 17 | 2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