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72

STNet ID : 9005517

한자 : 言語學
영어 : linguistics
약어 : 어학(語學)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일반 언어학 [ 一般言語學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어문학 [ 語文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음성학 [ 音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 공학 [ 言語工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대조 언어학 () [ 對照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전산 언어학 [ 電算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어학 () [ 英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학 [ 國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호학 () [ 記號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일본어학 () [ 日本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사회학 () [ 言語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중국어학 [ 中國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자론 [ 文字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지언어학 () [ 認知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텍스트 언어학 [ --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응용 언어학 [ 應用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통합 문법 [ 統合文法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신호학 [ 信號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역사 언어학 [ 歷史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공시 언어학 [ 共時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 인류학 [ 言語人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의미론 () [ 意味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 심리학 () [ 言語心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태론 () [ 形態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형태 음소론 [ 形態音素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어휘 의미론 [ 語彙意味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조어론 [ 造語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언어학 () [ 社會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음운론 [ 音韻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자학 어학 [ 漢字學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교 언어학 () [ 比較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화용론 () [ 話用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성구론 [ 成句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방언학 [ 方言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프랑스어학 () [ --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술언어학 () [ 記述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자학 [ 文字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신경 언어학 [ 神經言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러시아어학 [ --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통사론 () [ 統辭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일 어학 [ 獨逸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법론 [ 文法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메타언어학 [ --學 ]

hasBranch (분기/분과)

 

 

민족언어학 () [ 民族言語學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언어 조사 [ 言語調査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어학 능력 [ 語學能力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함축 도표 [ 含蓄圖表 ]

북한 조선어학의 특징에 대하여 -<조선어학전서>(2005)와 <언어학연구론문색인사전>(2006)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depended on 'The Series on Korean Linguistics(Jeonseo, 2005)' and Index dictionary on Linguistics(Saegin, 2006)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춤 기술(記述)의 논리와 체계적 범주

The Descriptive Logic and Systemic Categor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무용역사기록학 | 20 | 0 | 2010 | 무용

전통춤 기술(記述)의 논리와 체계적 범주

The Descriptive Logic and Systemic Categor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무용역사기록학 | 20 | 0 | 2010 | 무용

바라밀다(PĀRAMITĀ)의 형태론적 어원 분석들과 그 실제적 가능성에 대하여

A Morphological Study on Etymology of PĀRAMITĀ

남아시아연구 | 17 | 2 | 2011 | 지역학

Die haeufigsten Aussprachefehler der koreanischen Deutschlernenden und Korrekturanweisungen mit Abhilfevorschlaegen (III)

빈번한 독일어 발음실수의 분석과 교정(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27 | 2010 | 독일어와문학

Die haeufigsten Aussprachefehler der koreanischen Deutschlernenden und Korrekturanweisungen mit Abhilfevorschlaegen (III)

빈번한 독일어 발음실수의 분석과 교정(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 27 | 2010 | 독일어와문학

산스끄리뜨 불전의 언어학적 가공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Linguistic Processing of Buddhist Sanskrit Text and Grammatical Information Database

남아시아연구 | 17 | 1 | 2011 | 지역학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경전 텍스트와 언어문자의 관계-

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Xiaoxue小學

중국문학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경전 텍스트와 언어문자의 관계-

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Xiaoxue小學

중국문학 | 63 | | 2010 | 중국어와문학

퓨이에 노테이션의 시대문화적 배경 중 17C 서유럽의 보편언어 추구 움직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eventeenth-century Universal Language Projects in Western Europe as a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무용예술학연구 | 30 | 30 | 2010 | 무용

퓨이에 노테이션의 시대문화적 배경 중 17C 서유럽의 보편언어 추구 움직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eventeenth-century Universal Language Projects in Western Europe as a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Feuillet Notation System

무용예술학연구 | 30 | 30 | 2010 | 무용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등가와 언어학적 갭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ranslation equivalence and linguistic gaps

통번역학연구 | 16 | 1 | 2012 | 통역번역학

국어학과 한국문학교육

Korean Linguistics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시학과 언어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국어학과 한국문학교육

Korean Linguistics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시학과 언어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