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538

STNet ID : 1002540

한자 : 切斷
영어 : clipping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절단형 단일어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태론 () [ 形態論 ]

바울 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 바디우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The Literary-Critical Possibility of St. Paul Discussion ― Centering of Badiou and Agambe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사이 : 스코틀랜드 계몽과 국민문학

「普遍主義」と「普遍性」のあいだ : スコットランド啓蒙と「国民文学」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외래어 차용의 형태론적 양상

Morphological Aspects in the course of Borrowing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ity}와 {-ness}의 생산성 소고

Some Notes on the Productivity of {-ity} and {-ness}

언어과학 | 19 | 3 | 2012 | 언어학

‘형식명사+-요’ 구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인터넷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

A note on the ‘formal nouns+-yo(요)’ constructions - Focused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

언어와 정보 사회 | 13 | 2010 | 기타언어학

‘형식명사+-요’ 구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인터넷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

A note on the ‘formal nouns+-yo(요)’ constructions - Focused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

언어와 정보 사회 | 13 | | 2010 | 기타언어학

‘하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하야(haya)’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lends in Korean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