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의미

연구분야 : A090600 인문학 > 언어학 > 의미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803

STNet ID : 1004953

한자 : 語彙意味
영어 : vocabulary meaning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어휘적 의미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말뭉치 언어학 [ --言語學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범주화 [ 範疇化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의미장 [ 意味場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e03-01 언어/문자 /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결합 관계 [ 結合關係 ]

漢語“能”和“克”是否有意愿义

Can ‘neng’(能) and ‘ke(克)’ in Chinese express volition?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문화학

Семантическое формообразование и словообразование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Semantic Inflection and Word-formation in Russian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

The origin and features of sentence-type word-formation element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어 동사 '놓-'의 의미 변화 양상 분석

The Corpus Based Study of Meaning Changes - The Case of Korean Verb ‘not(놓)-’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한국어와 일본어 접미사의 대조적 특징을 활용한 교육 방안

A Study of Contrastive Features and Teaching Strategy of the Suffix on Korean and Japanese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Lexical Meaning and Dictionary Definition―focusing on the polysemy of event nouns―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Lexical Meaning and Dictionary Definition―focusing on the polysemy of event nouns―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어휘의 의미와 그 사용실태

Status of the meaning and the use of Korean word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중적 의미 사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Multiple Meaning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중적 의미 사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Multiple Meaning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사 ‘두다’와 ‘놓다’ 구문의 논항 배열 연구

A Study on the order of arguments of ‘놓다(nohda)’ and ‘두다(duda)’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사 ‘두다’와 ‘놓다’ 구문의 논항 배열 연구

A Study on the order of arguments of ‘놓다(nohda)’ and ‘두다(duda)’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에 의한 어휘의미의 변용과 국어교육적 수용방안

A Study on the Word-Meaning Chang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and Acceptance way of Korean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에 의한 어휘의미의 변용과 국어교육적 수용방안

A Study on the Word-Meaning Chang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and Acceptance way of Korean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