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미론을 통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의 효율성 연구 -영상도식 은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iveness of Korean idioms education in cognitive semantics: focused on image-schematic metaphor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의미론을 통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의 효율성 연구 -영상도식 은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iveness of Korean idioms education in cognitive semantics: focused on image-schematic metaphor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의미론과 인지언어학
Lexical Seman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의미론과 인지언어학
Lexical Seman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용절의 범주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quotative clauses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어 하-’와 통합하는 객관형용사의 의미 특성
Semantic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adjectives which are combined with ‘-eo ha-’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 하-’와 통합하는 객관형용사의 의미 특성
Semantic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adjectives which are combined with ‘-eo ha-’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장명칭 분석을 통한 미국 무도도장의 정체성(Identity) 탐색
A study on identity of Dojang(martial arts school) in the U.S.A.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irm nam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도장명칭 분석을 통한 미국 무도도장의 정체성(Identity) 탐색
A study on identity of Dojang(martial arts school) in the U.S.A.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irm nam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감정 표현 관용구의 범위 설정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conventional expressions denoting emotional meanings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지문법에 근거한 화제와 초점
Topic and Focus based on Cognitive Grammar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인지문법에 근거한 화제와 초점
Topic and Focus based on Cognitive Grammar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도덕적 개념탐구의 확장
The Extension of Inquiry into Moral Concept
초등도덕교육 |
36 |
2011 |
윤리교육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분류사 ‘점(點)’이 수량화하는 범주의통시적 변화
The diachronic changes of categories that“jeom(點)” can quantif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도덕과에서의 반편견교육: 사회 정체성 관점을 중심으로
Methods of anti-bia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Focusing on social identity perspective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형평성의 개념화
Conceptualization of Equity
행정논총 |
49 |
2 |
2011 |
행정학
폴란드어와 한국어 분류사의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폴란드어와 한국어 분류사의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
The changes of categories that jaru can quantify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범주화 방법에 따른 제품평가 및 고려 상표군의 차이
The Difference of Product Judgement and Consideration Set on Digital Convergence Product depending on Categorization Method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4 |
2010 |
심리과학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범주화 방법에 따른 제품평가 및 고려 상표군의 차이
The Difference of Product Judgement and Consideration Set on Digital Convergence Product depending on Categorization Method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4 |
2010 |
심리과학
언어적 범주화 단서에 따른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지각 차이
Effects of Linguistic Category Cue on Differential Perception of New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1 |
2010 |
심리과학
언어적 범주화 단서에 따른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지각 차이
Effects of Linguistic Category Cue on Differential Perception of New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1 |
1 |
2010 |
심리과학
기업 SNS 분석을 위한 범주화 연구
Categorization for Analyzing Corporate Social Network Services
광고연구 |
90 |
2011 |
광고/홍보학
학습-전이단계 실험패러다임에서 시간지연에 따른 범주화와 재인의 해리
Dissociation between categorization and recognition due to time delay in learning-transfer phase experimental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3 |
3 |
2011 |
심리과학
영어 대비 한국어 인간유형화의 특징
Features for Categorizing Human Types in Korean in Contrast to English
통번역학연구 |
15 |
2011 |
통역번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