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순수이성비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1)
Analyticity and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f Kant: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1)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헤겔의 철학적 역사 범주론
Hegels Theorie der Kategorien zur Philosophischen Weltgeschichte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錦江中流 松菊里型무덤의 象徵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Symbolic Meanings of Songgungni-type Burials in the Mid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5 |
2011 |
기타고고학
錦江中流域 松菊里文化段階 社會의 威信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A Study of Prestige and Value Structures of Songgungni-Assemblage Societies in the Mid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한국고고학보 |
84 |
2012 |
역사학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覺) - On Kantianism and Buddhism -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범주의 초월적 연역(B)은 어떤 논증인가?
Was für ein Argument ist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 Kategorien(B)?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범주의 초월적 연역(B)은 어떤 논증인가?
Was für ein Argument ist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 Kategorien(B)?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감탄사의 문법범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감탄사의 문법범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패키지디자인 범주화에 따른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ssessment Model Based on Package Design Categoriz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0 |
1 |
2012 |
디자인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 대상으로 -
A part of speech as a category and its typicality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해적행위 범주의 한정과 이에 따른 형법의 합리적 적용상 문제점에 대한 소고
A Study on Category Qualification of Pirate Action and a Rational Application in Criminal Law
홍익법학 |
13 |
1 |
2012 |
법학
Категория перцептивности в современных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Category of perceptiveness in contemporary linguistic research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장동건 대 김태희: 범주와 사례점화가 소비자 판단에 미치는 영향
Donggun Jang vs. Taehee Kim: Effects of category versus exemplar primes on consumer judgment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2 |
1 |
2011 |
심리과학
범주의 명칭과 속성형성과정 개입이 유아의 탐색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egory names and sham intervention on the preschooler's exploratory play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범주의 명칭과 속성형성과정 개입이 유아의 탐색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egory names and sham intervention on the preschooler's exploratory play
교육심리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 학습서 <교린수지>의 분류항과 어휘 선정ㆍ배열 연구
The classified catalogue and selected words of KYORINSUJI from the viewpoint of Classification.
한국어 의미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