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 사족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836

한자 : 鄕村士族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사족 [ 士族 ]

조선후기 가곡 향유 범위와 그 의미

The Enjoyment Scope and Meaning of Gagok(歌曲)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향촌재지사족의 梅花의 기억과 사유 - 존재 위백규의 「然語」의 경우

Memory and Thinking of Japanese Apricot flowers of Local Noble Family of the 18th Century61) ― The Case of 'Yeoneo' of Baek gyu Wi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玉所 權燮의 紀行詩文 연구

The Study on the Kwon Seop's Travel Notes and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玉所 權燮의 紀行詩文 연구

The Study on the Kwon Seop's Travel Notes and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유가사의 ‘꿈’ 모티프 변주 양상과 <길몽가>의 의미

Aspects of Variations on "Dream" Motive of Mongyu-Gasa and Meanings of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心齋 趙性濂의 삶과 시세계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Shimjae Jo Seong-ryeom

南冥學硏究 | 31 | 2011 | 철학

화전가를 통해 본18 · 19세기 남녀의 정서와 의식지향 —은일가사와의 비교를 곁들여—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intention of the 18․19th century men and women who appeared in Hwajeonga —Focused on comparison with Eunilgasa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지식인의 정체성 변화와 그 배경 -槐庭 吳相奎의 생평과 근대 문명 인식-

Identity Transformation of the Literti in 19th century -Life of O Sanggyu and his recognition of modern civilization-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永言傳』 所載 歌辭의 特徵的 樣相과 解釋的 脈絡

The Characteristic Aspect and Analytical Context of ‘Kasa (verse)' in 『Young Eon Je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화전가를 통해 본18 · 19세기 남녀의 정서와 의식지향 —은일가사와의 비교를 곁들여—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intention of the 18․19th century men and women who appeared in Hwajeonga —Focused on comparison with Eunilgasa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향촌사족 詩歌의 自意識과 그 윤리적 성격- 『魏門歌帖』을 중심으로

Self-consciousness and Its Social Character in Hyangchonsajok(鄕村士族) Siga of the Late Jose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향촌사족 詩歌의 自意識과 그 윤리적 성격- 『魏門歌帖』을 중심으로

Self-consciousness and Its Social Character in Hyangchonsajok(鄕村士族) Siga of the Late Jose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