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족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인간(사회계층)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01

STNet ID : 1000451

한자 : 士族

a01-04-04 인간(사회계층)

연령

중장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향촌 사회 [ 鄕村社會 ]

S:동의

UF (비우선어)

 

 

향촌 사족 () [ 鄕村士族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서원 (조선) [ 書院 ]

RT (관련어)

 

 

향규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향약 () [ 鄕約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선비 [ 士 ]

RT (관련어)

 

 

무인 [ 武人 ]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Transformation of the Ulsan Area's Hakseong Yi House(鶴城李氏) Members: Their Escape from the Local "Hyang'ri" Clerk statu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Sajok" figure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 Alteration in the Status of the Local Hyang'ri beings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와 ‘征韓論’ 문제 - 2011년도 검정합격본을 중심으로 -

Narrative of 'Seikanron' in Japanese Middle School Textbook Authorized in 2011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

근대 일본 식자층과 신문 미디어의 계층성 연구 - 기독교신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ership of Christian Newspaper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일본어문학 | 54 | 2011 | 일본어와문학

단성민란과 향리층의 지속과 변동

A Study on the Danseong Revolt and the Continuance and Changes of the Hyangni Clas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신분과 귀족문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life of Shilla[新羅]'s Woncheug[圓測] - focusing on the social lank and homecoming-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신라 원측의 생애에 대한 검토-신분과 귀족문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life of Shilla[新羅]'s Woncheug[圓測] - focusing on the social lank and homecoming-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17세기 경주 유향소의 위상: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의 분석

The Status of Gyongju Yuhyangso in 17th Century: Analyzing the Old Documents in the Yangwol Family of Gyongju Yi Clan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17세기 前半 全州地域 士族의 정치ㆍ사회적 동향

The Socio-political Movement of Sajok in the Jeonju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Ham­yang region with reference to Ko­dae Diaries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