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약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503

STNet ID : 1001021

한자 : 鄕約
영어 : community compact
기타 : Hyangyak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향촌 규약 () [ 鄕村規約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자치 규약 () [ 自治規約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예속상교 () [ 禮俗相交 ]

hasComponent (구성요소)

 

 

과실상규 () [ 過失相規 ]

hasComponent (구성요소)

 

 

환난상휼 () [ 患難相恤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덕업상권 () [ 德業相勸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여씨향약 [ 呂氏鄕約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공동체주의 () [ 共同體主義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사족 [ 士族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향촌 사회 [ 鄕村社會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사림파 () [ 士林派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예안향약 () [ 禮安鄕約 ]

hasInstance (사례)

 

 

서원향약 () [ 西原鄕約 ]

寡尤 洪重三의 家系와 著述活動

A Study on Hong, Jung-sam’s Family Line and Writing Activities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16세기 동양과 서양의 공동체 이념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the Western and Eastern concepts of Community in 16th Century

시민사회와 NGO | 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조선 중후기 경주 양좌동의 촌락 조직과 그 성격

The Organiza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of Gyongju Yangzwa-dong Village in Middle and Latter Choson Period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중후기 경주 양좌동의 촌락 조직과 그 성격

The Organiza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of Gyongju Yangzwa-dong Village in Middle and Latter Choson Period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韋堂 安潚의 한문산문 연구

A study on the Chinese prose of Ahn suk(安潚)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충암(冲庵) 김정(金淨)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의 교육적 의미

The Educational Meaning of ‘Jeju Poong-To-Rock’ of (Choong Am) Kim Jung

탐라문화 | 40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적 복지혼합의 유교적 기원

Confucian Origin of Welfare Mix in Pre-Modern Korea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3 | 2011 | 정치외교학

趙光祖의 社會改革에 관한 一考察

A Study on Cho KwangJo's Political Activities and Social Reforms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Edification of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Xiangli on 17th Century Chosun Dynasty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规约的互助与德化二重性

의무적 상호부조와 도덕화의 측면에서 살펴 본 규약의 이중성

동북아법연구 | 5 | 2 | 2011 | 비교법학

16세기 전반의 鄕約의 성격과 이해 -‘소학실천자들’의 향약론을 중심으로-

The Community Compact in Sixteenth Korea : Its significance and sociopolitical agenda of the Literati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Trends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before the Modern Era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후기 관변자치제도인 ‘수령향약’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Magistrate-made Local Autonomy System(“hyang-yak”(鄕約)) in Later Chosun Dynasty Period in comparison with the Independent Middle Period Ones

한국행정사학지 | 29 | 2011 | 행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