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파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22

한자 : 士林派
동의어(UF) : 사림(士林)

y06-03 학파/종파명

시대4

조선 중기 (朝鮮中期)

설립목적_t

정치적 실권 장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림 () [ 士林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사림 정치 [ 士林政治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을사사화 () [ 乙巳士禍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문묘종사 [ 文廟從祀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 전기 이기론 [ 朝鮮前期理氣論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영 () [ 金瑛 ]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훈구파 () [ 勳舊派 ]

isAdvocatedBy (주창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영남사림파 [ 嶺南士林派 ]

조선 성종대 전반 언론의 동향과 언론 관행의 형성 - 성종대 언론 발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

The Press Tendency under King Seongjong’s Early Reign and The Formation of Usual Practice of Censorship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대 전반 언론의 동향과 언론 관행의 형성 - 성종대 언론 발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

The Press Tendency under King Seongjong’s Early Reign and The Formation of Usual Practice of Censorship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삶에서 ‘물러남’의 교육적 의미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tepping Back’ in Toegye’s Life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퇴계의 삶에서 ‘물러남’의 교육적 의미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tepping Back’ in Toegye’s Life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星州 漢文學의 歷史的 展開樣相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in Seongju(星州) Area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佔畢齋 金宗直 연구의 회고와 전망

A Retrospect and prospect of Kim, Jong-Jik (Jeompil-jai)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冶隱 吉再와 그 門生들의 도학사상

The Neo-Confucianism of Ya-eun Gil Jae and His Followers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萬憤歌>에 드러난 怨恨의 양상

A study on the content of “Manbunga”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점필재 김종직 연구에 대한 반성적 전망

A Reflective Outlook on Researches of Kim Jong-Jik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점필재 김종직 연구에 대한 반성적 전망

A Reflective Outlook on Researches of Kim Jong-Jik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The Formation of Dohak (Tao Learning)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 Kim Jong-jik and His students’s Dohak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梧陰 尹斗壽의 인물과 도학적 실천

Oeum Yun Dushu's Life and Practice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小學』의 성격과 정치론, 그 적용 ― 조선전기 사림파의 정치이론과 적용 ―

Chu Hsi's Elementary Learing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in Korea during the Chosŏn Dynast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小學』의 성격과 정치론, 그 적용 ― 조선전기 사림파의 정치이론과 적용 ―

Chu Hsi's Elementary Learing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in Korea during the Chosŏn Dynast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