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지

연구분야 : A020604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한국고대고고학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29

STNet ID : 1004992

한자 : 彌勒寺址
동의어(UF) : 익산 미륵사지(益山彌勒寺址)
기타 : Mireuksa temple site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절터

제작시대

백제 시대 (百濟時代)

소재지

익산 (益山)

지정호수_t

사적 제150호

지정일자_t

1966.06.22.

주소_t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절터 () [사지(寺址)]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미륵사 () [ 彌勒寺 ]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미륵사지 석탑 () [ 彌勒寺址石塔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화공주 () [ 善花公主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왕 (600-641) [ 武王 ]

百濟 定林寺式伽藍配置의 展開와 日本의 初期寺院

Development of Site Layout of Jeonglim Temple Site in Baekje Era and Early Temples in Japan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發掘調査 成果를 통해 본 益山의 百濟 寺刹

The Temples of the Baekje Kingdom in Iksan in View of the Outcomes of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發掘調査 成果를 통해 본 益山의 百濟 寺刹

The Temples of the Baekje Kingdom in Iksan in View of the Outcomes of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미륵사지 출토 백제시대 암막새 연구

A Study on Concave Tiles of the Baekje Kingdom Era Excavated at the Mireuk Temple Site

고문화 | 76 | 2010 | 역사학

미륵사지 출토 백제시대 암막새 연구

A Study on Concave Tiles of the Baekje Kingdom Era Excavated at the Mireuk Temple Site

고문화 | | 7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