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사적지 조사 및 관리정책
American Historic Sites Survey and Its Management Polic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일본의 ‘아시아평화국민기금(국민기금)’에 대한 한국사회의 대응
The Responses of the Korean Society and damaged women to theJapan’s Asian Women’s Fund (AWF)
여성과 역사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일본의 ‘아시아평화국민기금(국민기금)’에 대한 한국사회의 대응
The Responses of the Korean Society and damaged women to theJapan’s Asian Women’s Fund (AWF)
여성과 역사 |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多元化時代의 東아시아 歷史敎育을 위한 미디어 다큐멘터리 資料의 分析과 活用方案
An Analysis of Media-Documentary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East Asia History in the Age of Multiplicity
중국사연구 |
74 |
2011 |
동양사
게리 팩의 『종이비행기』에 나타난 하와이 공간의 재현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Hawaii in Gary Pak’s A Ricepaper Airplan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게리 팩의 『종이비행기』에 나타난 하와이 공간의 재현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Hawaii in Gary Pak’s A Ricepaper Airplan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학교 『사회 5-1』 교과서의 역사경관 고찰
Contemplation on Historic Landscape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Social Studies 5-1』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
이소크라테스의 역사교육
Isocrates’ education of history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이소크라테스의 역사교육
Isocrates’ education of history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사회 5-1』 교과서의 유교문화 단원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Contemplation on Confucian Culture Unit in the 『Social Studies 5-1』 Textbook
사회과교육연구 |
18 |
3 |
2011 |
사회교육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공자의 인문학 강의와 인간의 삶 -공자의 문학교육과 역사교육의 인문치료적 의미에 대하여
Confucius and Humanities Therapy -education, counselling and therapy using literature and history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 -쇼와사 논쟁과 교과서 검정을 중심으로-
Historic Consciousness and History Education in Postwar Japan: focused on the Showashi controversy and the certification of textbook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역사교육의 방안
Controversy over Colonial Modernization and Plans for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역사교육의 방안
Controversy over Colonial Modernization and Plans for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초․중․고 『국사』교과서에 기재된 인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Figures Mention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초․중․고 『국사』교과서에 기재된 인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Figures Mention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동몽선습(童蒙先習)』에 나타난 아동교육과정의 특징
The Feature of Children's Curriculum Reflecting through Dong Mong Seon Seup
한국교육사학 |
33 |
3 |
2011 |
교육학
최근 중등학교 역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세계사 과목의 편제와 내용 구성의 변화
The Establishment and Changes in Content 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Course through Recent Amendments of Curriculum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일본의 다문화교육정책과 역사교육
The Poli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in Japan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현상학적 시간론을 통한 현재의 의미 이해와 초등 역사교육에의 실제 적용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of Present and Practice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Phenomenological Time Theory
교육연구 |
51 |
2011 |
교과교육학
역사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행 방안 탐색
An Inquiry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History Classroom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독서를 활용한 역사교육 연구 - 신윤복에 관한 소설의 역사서술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y Education through Reading Ability -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torical novel on Shin Yoon―bok -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를 활용한 역사교육 연구 - 신윤복에 관한 소설의 역사서술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y Education through Reading Ability -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torical novel on Shin Yoon―bok -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사교육과 국가이미지 -대한민국 중․고등학생들의 중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History Eeducation and National Image -A Research on the Questionnaire Analysis about Chinese National Image of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
동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중국의 학제개혁과 역사교과과정의 성립
A reform of the school system and the progress of History education in China in the 20th century
사림 |
39 |
2011 |
역사학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중학교 8종 역사부도 분석 — 고려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Book of Eight Kinds — Focusing on Goryeo and Joseon Dynasty —
史叢(사총) |
73 |
2011 |
기타역사일반
미국 역사 수업 성공사례를 적용한 창의, 인성 수업의 시사
Foster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rough History Education - Suggestions Based on Successful U.S. Models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미국 역사 수업 성공사례를 적용한 창의, 인성 수업의 시사
Foster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rough History Education - Suggestions Based on Successful U.S. Models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아프리카 역사의 역사교육적 가치
Value of African History in History Teaching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영국의 다문화주의 교육과 역사교육
Multiculturalism and History Teaching in Britain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역사와 영화 :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and Movies" as an Independent Teaching Subject
역사와경계 |
74 |
2010 |
역사학
역사와 영화 :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and Movies" as an Independent Teaching Subject
역사와경계 |
|
74 |
2010 |
역사학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History Educat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Section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朝鮮の敎育硏究』를 통해 본 일제시대 초등 역사수업의 실제 양상
A Study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lementary History Cl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Study on the Education of Choson(朝鮮の敎育硏究)』
사회과교육연구 |
19 |
2 |
2012 |
사회교육학
사실과 허구사이의 역사이미지: 정치 캐리커처-독일 역사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Historical Image between Fact and Fiction: Political Caricature in Germany History Education
역사와경계 |
84 |
2012 |
역사학
중화민국 초기 중국의 학제개편과 역사교육
Reformation of School System and History Education in Early Period of Republic of China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역사교육용 시뮬레이션 게임에 있어서의 사실성과 재미요소 -태합입지전V를 사례로-
The Realism and Entertainment of Simulation Game for History Education -Focus on TAIKO-RISSHIDEN V-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1 |
1 |
2012 |
기타디자인
1930년대 전반기 재조 일본인 교사의 역사교육 인식과 수업실천 양상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Class Practice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Chosun during the early 1930's
역사문화연구 |
42 |
2012 |
역사학
극화활동을 통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of Dramatic Activity from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유아교육학논집 |
15 |
5 |
2011 |
교육학
초등학생의 생활세계 경험에 기반한 초등 역사학습의 방향성 모색
The Inquiry into direction of the student's life-world experience based on the elementary historical studying
교육연구 |
50 |
2011 |
교과교육학
비평논문:“이론화의덫”: 오늘날의 역사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단상
A Critical Essay on the Contemporary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in Korea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비평논문:“이론화의덫”: 오늘날의 역사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단상
A Critical Essay on the Contemporary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in Korea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원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in History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초등학교 5학년 사회교과서의 한국사 내용 검토와 활용방안
A Review and Application Methods of Korean History in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
초등 역사교육에 있어서 1인칭 역사학습의 가능성 모색
A Search for First Person History Learning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Examination on Previous Studies about History Content Selection, Organization and Structure
역사교육 |
113 |
2010 |
역사학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Examination on Previous Studies about History Content Selection, Organization and Structure
역사교육 |
|
113 |
2010 |
역사학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The Course of Revising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Its Nature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역사교육과 국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이 중국 국가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national image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how history education in high school has effect on national image of china in Korea-
경주사학 |
32 |
2010 |
기타인문학
역사교육과 국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이 중국 국가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national image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how history education in high school has effect on national image of china in Korea-
경주사학 |
|
32 |
2010 |
기타인문학
고등학교 『국사』 과목 정기고사 문항유형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of Question Types of Regular Test 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역사교육논집 |
44 |
2010 |
역사학
고등학교 『국사』 과목 정기고사 문항유형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of Question Types of Regular Test 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역사교육논집 |
|
44 |
2010 |
역사학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의 시각자료의 특징과 함의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aterials in Japanese Middle SchoolHistory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사회과교육 |
50 |
2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