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경

연구분야 :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10

한자 : 阿彌陀經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무문자설경 () [ 無問自說經 ]

hasSubject (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미타신앙 [ 彌陀信仰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정토삼부경 [ 淨土三部經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관음신앙 [ 觀音信仰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서방 정토 () [ 西方淨土 ]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Peculiarities of the Pure Land in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Peculiarities of the Pure Land in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On the Problems of the Scriptural Sources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Dunhuang Mogao Cave 220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On the Problems of the Scriptural Sources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Dunhuang Mogao Cave 220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범・장・돈황본 아미타경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krit, Tibetan and Dunhuang Versions of Sukhāvatī-Vyūha

인도철학 | 29 | 2010 | 철학

범・장・돈황본 아미타경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krit, Tibetan and Dunhuang Versions of Sukhāvatī-Vyūha

인도철학 | | 29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