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정토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712

STNet ID : 9006570

한자 : 西方淨土
동의어(UF) : 극락정토(極樂淨土)
동의어(UF) : 동거토(同居土)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정토 () [ 淨土 ]

isKindOf (상위 유형)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유토피아 () [utopia]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7 준인간 준인간

아미타불 () [ 阿彌陀佛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불교 () [ 佛敎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아미타경 [ 阿彌陀經 ]

한국 신화의 타계(他界;the other world) 연구 -수평적 방위 개념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other World in Korean Mythology - Focusing on the concept of horizontal orient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三國遺事』 소재 대비적 인물의 得道 양상

Aspects of spiritual enlightenment of contrastive figures in 《Samgukyusa》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On the Problems of the Scriptural Sources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Dunhuang Mogao Cave 220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On the Problems of the Scriptural Sources of the Western Paradise bianxiang in Dunhuang Mogao Cave 220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7世紀 燕岐地域 阿彌陀佛像의 西方淨土圖像 硏究

Study of the Amitā Buddha Images from 7th Century Yŏn’gi Area, South Ch’ungch’ŏng Province

불교미술사학 | 11 | 2011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