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

연구분야 : A081300 인문학 > 불교학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559

한자 : 淨土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서방 정토 () [ 西方淨土 ]

hasKind (종류)

 

 

정유리세계 () [ 淨琉璃世界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불국토 [ 佛國土 ]

유목문화와 농경문화의 죽음에 대한 인식 ― 풍토와 종교, 그리스도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ew of Death in Agricultural and Nomadic Culture

인간연구 | 19 | 2010 | 철학

유목문화와 농경문화의 죽음에 대한 인식 ― 풍토와 종교, 그리스도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ew of Death in Agricultural and Nomadic Culture

인간연구 | | 19 | 2010 | 철학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西洋의 유토피아사상 고찰

『Vimalakīrti-nirdeśa-Sūtra』’s Pureland, considerate thoughts and the Occident about Utopia's thought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세친 정토론의 정토사상과 유식불교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Study of Vasubandhu's Thought of Pure Land in Treatise on Pure Land and Yogācāra

인도철학 | 31 | 2011 | 철학

제불의 정토

The Pure land of Buddhas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제불의 정토

The Pure land of Buddhas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법성종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토사상

The Thought of Pure Land(淨土)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법성종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토사상

The Thought of Pure Land(淨土)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