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불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준인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5353

한자 : 阿彌陀佛
영어 : Amitabha
범어(산스크리트) : amitabha Buddha

a01-07 준인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부처 (깨달은 자) [ 佛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세불 () [ 三世佛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불법 [ 佛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미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삼세불상 () [ 三世佛像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정토종 () [ 淨土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서방 정토 () [ 西方淨土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아미타불상 [ 阿彌陀佛像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타력 [ 他力 ]

관세음보살 사상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deology of Avalokitesvara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정토론주>>에 나타난 신(信)의 의미 고찰

<<淨土論註>>の信に対する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산청 도전리마애불상군 연구

A Study on the Buddha Images Carved on the Cliff in Dojeon-ri, Sanchung

문물연구 | 20 | 20 | 2011 | 역사학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land of Sukhavati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정토교학에서의 열반과 체득

The Study of nirvana and realization in the Pure Land's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정토론』의 불토관 고찰

『净土論』の佛土觀の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The Vision of Maitreya in an Image from Gamsansa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The Vision of Maitreya in an Image from Gamsansa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7世紀 燕岐地域 阿彌陀佛像의 西方淨土圖像 硏究

Study of the Amitā Buddha Images from 7th Century Yŏn’gi Area, South Ch’ungch’ŏng Province

불교미술사학 | 11 | 2011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