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연구분야 : A080100 인문학 > 불교학 > 근본불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27

한자 : 大乘佛敎
범어(산스크리트) : Mahayana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대승 [ 大乘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불교 () [ 佛敎 ]

N1:종류

hasKind (종류)

 

 

십지 () [ 十地 ]

hasKind (종류)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정토학 [ 淨土學 ]

hasKind (종류)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진언종 [ 眞言宗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선종 () [ 禪宗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삼론종 [ 三論宗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법상종 () [ 法相宗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밀교 [ 密敎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유식학파 () [ 唯識學派 ]

hasBranch (분기/분과)

 

 

정토종 () [ 淨土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석굴 사원 () [ 石窟寺院 ]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관음신앙 [ 觀音信仰 ]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자서수계 [ 自誓受戒 ]

hasIssue (이슈/주제)

 

 

10 바라밀 [ 十波羅蜜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제법실상 [ 諸法實相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육바라밀 [ 六波羅蜜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여래장 () [ 如來藏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반야 [ 般若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보살도 [ 菩薩道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교상판석 [ 敎相判釋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승장엄경론 [ 大乘莊嚴經論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세친 [ 世親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법계 [ 法界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근본 불교 [ 根本佛敎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소승불교 () [ 小乘佛敎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토 사상 [ 淨土思想 ]

RT (관련어)

 

 

대승률 [ 大乘律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원성실성 [ 圓成實性 ]

RT (관련어)

 

 

대승육정참회 [ 大乘六情懺悔 ]

RT (관련어)

 

a01-05 인간(능력/성향) 인간(능력/성향)
a01-05 인간(능력/성향) / a01-07 준인간 준인간

아라한 [ 阿羅漢 ]

RT (관련어)

 

 

대승기신론소 [ 大乘起信論疏 ]

RT (관련어)

 

 

대승기신론별기 [ 大乘起信論別記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승기신론 [ 大乘起信論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공 사상 () [ 空思想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아미타불 () [ 阿彌陀佛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불성론 [ 佛性論 ]

RT_Y (◄관련어)

관련 종교

y02-01 문헌명 문헌명

유교경 [ 遺敎經 ]

RT_Y (◄관련어)

관련 종파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보시 [ 布施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일본 대승교 [ 日本大乘敎 ]

비베카난다의 붓다관에 대한 비평 : 遊行(sannyāsa)과 出家(pabbajjā)를 중심으로

Criticism on Vivekananda's view of Buddha Focused on Sannyāsa and Pabbajjā

인도철학 | 29 | 2010 | 철학

‘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조의 詩歌考

A Study on the Poetry of Article in《Samgukyusa》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선원청규』와 한국불교의 나아갈 길

Seon Center Golden Rules and the future way of Korean Buddhism

禪學(선학) | 29 | 2011 | 응용불교학

중국불교의 근대적 ‘자유’개념의 수용과 전개 -타이쉬(太虛)의 ‘인생불교’를 중심으로-

The Acception and Development of ‘Liberty’ of Chinese Buddhism in Modern Era -Focused on Tai-xu’s Human Life Buddhism-

시대와 철학 | 22 | 2 | 2011 | 철학

『三國遺事』 소재 대비적 인물의 得道 양상

Aspects of spiritual enlightenment of contrastive figures in 《Samgukyusa》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방편 개념의 이해와 기독교적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Buddhist Concep ‘Upaya’ in Christi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26 | 2010 | 조직신학

불교의 방편 개념의 이해와 기독교적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Buddhist Concep ‘Upaya’ in Christi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 26 | 2010 | 조직신학

菩薩戒의 전개와 발전에 대한 一考 -10善戒에서 10重48輕戒까지-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보 | 54 | 2010 | 기타불교학

菩薩戒의 전개와 발전에 대한 一考 -10善戒에서 10重48輕戒까지-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보 | | 54 | 2010 | 기타불교학

대승불교의 이미지론 연구

The Study of Image Theory in Mahayana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대승불교의 이미지론 연구

The Study of Image Theory in Mahayana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