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세계 창조에 관한 세 가지 유형들- ‘가능적인 것’과 ‘잠재성들’ 그리고 ‘여래장’ -
Three Patterns on World-Creation: The Potential, Virtualities, and Tathagatagarbha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헤세의 단일성 사상과 유식불교의 여래장 - 소설 『싯다르타』를 중심으로
Hesses Auffassung von ‘Einheit’ und das Alayavijnana des Yogacara-Buddhismus. - Eine Analyse des Romans Siddhartha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An Approach for the Mahayana Kan-hua Meditation(看話禪) about Counseling and Healing黙照禪), and Kan-hua Meditation(看話禪).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大乘起信論』 地論宗 撰述說에 대한 반론
An Objection to the Argu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ithin the Dilun School
불교학보 |
54 |
2010 |
기타불교학
『大乘起信論』 地論宗 撰述說에 대한 반론
An Objection to the Argu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ithin the Dilun School
불교학보 |
|
54 |
2010 |
기타불교학
원효의 본각과 여래장
元曉の本覚と如来蔵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 一考
the Theory of Nine Types of Consciousness and Tathāgatagharbha
불교학연구 |
26 |
2010 |
불교학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 一考
the Theory of Nine Types of Consciousness and Tathāgatagharbha
불교학연구 |
26 |
|
2010 |
불교학
「보성론」에 나타난 종성의 성격
The Concept of Gotra in the Ratnagotravibhāga Revisited
보조사상 |
38 |
2012 |
종교학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과 성불론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About The Gaṇḍa-vyūha-sūtra And The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
佛性의 本質과 衆生의 關係 - 『寶性論』의 「一切衆生如來藏品」을 中心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a-Nature and Sentient beings: Mainly Focused on 5th chapter of Ratnagotra-vibhāga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 Ⅱ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erm 'Tathāgatagarbha' in the Early Yogācāra School
인도철학 |
32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