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看話三要): Based on Chan Essentials(禪要)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看話三要): Based on Chan Essentials(禪要)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僞經의 민중교육적 의미─남북조시대 찬술경전을 중심으로
Minjung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Apocryphal Sutras ―focusing on the apocryphal sutras from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원효의 화회(和會) 해석학을 통해 본 종교다원주의 - 종교성의 공동기반과 심층적 대화원리 -
Wonhyo's Hermeneutic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Common Ground of Religiosity and Depth Dialogue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불교에서의 평등과 차별 - 젠더와 깨달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仏教の平等と差別
동아시아불교문화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불교에서의 평등과 차별 - 젠더와 깨달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仏教の平等と差別
동아시아불교문화 |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범망경』 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인성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nwang j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he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범망경』 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인성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nwang j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he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암 진단을 받은 생존불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 불교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삶의 질 향상방안을 중심으로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the buddhist patients with cancer
인도철학 |
33 |
2011 |
철학
포스트모던 시대의 종교적 영성과 불교
Religious Spirituality and Buddhism in Postmodern Era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포스트모던 시대의 종교적 영성과 불교
Religious Spirituality and Buddhism in Postmodern Era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God as Illeity, Buddha Nature, and Transcendence in Literature
문학과 종교 |
16 |
2 |
2011 |
기타인문학
佛性의 本質과 衆生의 關係 - 『寶性論』의 「一切衆生如來藏品」을 中心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a-Nature and Sentient beings: Mainly Focused on 5th chapter of Ratnagotra-vibhāga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천태지의의 불성론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중심으로-
The Buddha-nature Theory of T’ian-T’ai Zhiyi
철학사상 |
35 |
2010 |
철학
천태지의의 불성론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중심으로-
The Buddha-nature Theory of T’ian-T’ai Zhiyi
철학사상 |
|
35 |
2010 |
철학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敦煌本『六祖坛经』的作者、主要思想初探
A Study on the author and the principle thought of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대각사상 |
15 |
2011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