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

연구분야 : A030000 인문학 > 철학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18

한자 : 覺
영어 : enlightenment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깨침

UF (비우선어)

 

 

깨도

N1:종류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돈오 () [ 頓悟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참여 불교 () [ 參與佛敎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불성 () [ 佛性 ]

선과 경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A grope for new paradigm in Seon & Sūtras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Bak Hanyeong (1870-1948) and Anti-Chan Sectarianism

박한영(1870-1948)의 선 종파주의 비판: 신회, 종밀과 지눌의 선교 통합주의 전통 계승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칸트 사상과 불교 사상의 비교 고찰

Comparative research on Kant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79 | 2010 | 학제간연구

칸트 사상과 불교 사상의 비교 고찰

Comparative research on Kant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79 | 2010 | 학제간연구

食이 깨달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wareness for awakening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食이 깨달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wareness for awakening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검도 깨달음의 구조에 관한 연구-후설(Husserl)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Study on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Approach of Husserlian Phenomenology-

대한무도학회지 | 14 | 1 | 2012 | 무도학

예수의 성령체험과 붓다의 깨달음체험의 내용과 구조 - 4복음서, 마하삿짜까숫따, 아리야빠리예싸나숫따를 중심으로 -

The Facts and Structures of Jesus's Experience of the Decent of the Holy and Buddha's Enlightenment Experience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유교와 불교의 효사상

Hyo[孝] Thought of Confucianism and the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간화선의 전통과 그 현대적 수용

A study of traditional Ganhwa Seon(看話禪) and its Modern Application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간화선의 전통과 그 현대적 수용

A study of traditional Ganhwa Seon(看話禪) and its Modern Application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그리스도교의 청빈서원에 대한 고찰 -불교의 무소유정신과의 비교를 시도하며-

Study on the Poverty Vow of the Christians-Comparison with the spirit of non-possession of Buddhism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2 | 2011 | 응용불교학

Transformation of Metaphysics and New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국제화 시대에 있어 형이상학의 전환과 새로운 교육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기독교 신앙에 대한 철학적 성찰-믿음과 깨달음의 얽힘에 주목하면서-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Christian Faith: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Faith and Awakening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2 | 2011 | 응용불교학

대학선교와 기독교 영성교육 ―표층교육을 넘어 심층교육으로 대학선교와 기독교 영성교육 ―표층교육을 넘어 심층교육으로 대학선교와 기독교 영성교육 ―표층교육을 넘어 심층교육으로

Campus Miss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n Educational Paradigm Shift from Exoteric Education to Esoteric Education

대학과 선교 | 21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覺) - On Kantianism and Buddhism -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두 싯다르타 - 헤세의 변형과 깨달음의 의미

Zwei Siddharthas Hesses Änderungen und Neubestimmung der historischen Biografie Siddharthas

헤세연구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자아의 존재

Hermann Hesse’ Siddhartha und das Sein des Ich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자아의 존재

Hermann Hesse’ Siddhartha und das Sein des Ich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A Study of the Immanent Structure of the Hwadu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A Study of the Immanent Structure of the Hwadu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보조 지눌의 ‘돈오점수론’에 대한 원불교적 관점

The view of Won-Buddhism on the Chinul's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enlightenment'

종교교육학연구 | 37 | 2011 | 종교학

한국불교에서 삶의 의미 문제와 인권(人權) -원효와 지눌의 깨달음[覺]개념을 중심으로-

A Meaning of life in the Korean Buddhism and Human Ri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Awakening at Wonhyo(元曉) and Chinul(知訥)-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깨달음과 치유를 위한 문답법 -삿상(Satsang)과 선문답-

Question-and-Answer Method for Enlightenment and Healing: Special Reference to Satsang and Sŏn Encounter Dialogue (禪問答)

종교교육학연구 | 39 | 2012 | 종교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작품에 수용된 禪語에 대한 一考

夏目漱石の作品に収容された禅語に対する一考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Nien(念) and Chiao(覺) i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focused to the texts of Won-hyo(元曉) and Fa tsang(法藏)-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아담의 ‘깨달음’ - 르 클레지오의 「조서」의 경우

L'Eveil d'Adam - en cas du ‘Procès-verbal’ de Le Clézio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그리스도요법: 깨달음을 통한 치유의 과정 -실존적 진단을 중심으로-

Christotherapy: Process of Healing through Enlightenment –Centering Existential Diagnosis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2 | 2011 | 목회상담학

검도 깨달음의 구조에 관한 연구-후설(Husserl)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Study on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Approach of Husserlian Phenomenology-

대한무도학회지 | 14 | 1 | 2012 | 무도학

깨달음의 패러독스와 사적언어논증 - 성철과 비트겐슈타인을 중심으로 -

The Paradox of Enlightenment and Private Language Argument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