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

연구분야 : A080100 인문학 > 불교학 > 근본불교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766

한자 : 般若
범어(산스크리트) : Prajñā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프라즈냐 () [prajnā]

UF (비우선어)

 

 

혜(慧) () [ 慧 ]

UF (비우선어)

 

 

판냐 () [paññā]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지혜 () [ 智慧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반야심경 [ 般若心經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반야경 () [ 般若經 ]

RT (관련어)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보살 [ 菩薩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선정 [ 禪定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보시 [ 布施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분별 [ 分別 ]

반야사상에 대한 헤겔 철학적 접근 -空과 시원(Anfang)을 중심으로-

Hegel’s Philosophical Approach to Prajna -śūnya and Anfang-

한국불교학 | 56 | 2010 | 종교학

반야사상에 대한 헤겔 철학적 접근 -空과 시원(Anfang)을 중심으로-

Hegel’s Philosophical Approach to Prajna -śūnya and Anfang-

한국불교학 | | 56 | 2010 | 종교학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연구 -반야공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nhyo’s Study on the Diamond Samādhi Sūtra Focused on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민족사상 | 6 | 1 | 2012 | 한국정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