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

연구분야 : A080900 인문학 > 불교학 > 선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87

STNet ID : 9000961

한자 : 禪定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오바라밀 [ 五波羅蜜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선(禪) () [ 禪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반야 [ 般若 ]

『修禪結社文』의 구성과 修禪作法

The construction of SU-SEON-GYULSA-MOON & the method of sitting-meditations

禪學(선학) | 25 | 2010 | 응용불교학

『修禪結社文』의 구성과 修禪作法

The construction of SU-SEON-GYULSA-MOON & the method of sitting-meditations

禪學(선학) | | 25 | 2010 | 응용불교학

吳宖黙(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governing prefecture-county through the case of Oh Hoengmook(1834∼?) -Relating to model of 'good administration' government official-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吳宖黙(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governing prefecture-county through the case of Oh Hoengmook(1834∼?) -Relating to model of 'good administration' government official-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사띠(sati)와 사마디(samādhi)의 중도적 구조에 대한 연구_초기불교와 현대심리학을 중심으로_

A Study on Middle-Path Structure in Sati and Samādhi

인도철학 | 35 | 2012 | 철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

頓悟漸修의 요가 철학적 성격

The Yoga Philosophic Characteristic of 'Sudden Enlightenment with Gradual Cultiv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