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

연구분야 : A080800 인문학 > 불교학 > 밀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94

한자 : 密敎
영어 : Esoteric Buddhism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밀의 종교 [ 密儀宗敎 ]

UF (비우선어)

 

 

진언 밀교 [ 眞言密敎 ]

UF (비우선어)

 

 

비밀 불교 [ 祕密佛敎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다라니 [ 陀羅尼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진언집 [ 眞言集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만다라 [ 曼茶(陀)羅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밀교계 불화 [ 密敎系佛畵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총지종 [ 摠持宗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밀교 법회 [ 密敎法會 ]

髻珠에 관한 사상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n Gyeju(髻珠) in Ideological Viewpoint

종교연구 | 61 | 2010 | 종교학

髻珠에 관한 사상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n Gyeju(髻珠) in Ideological Viewpoint

종교연구 | | 61 | 2010 | 종교학

한국불교 공양의식 일고-변공(變供)의궤의 형성과 수용-

Consideration on a offering ceremony in Korean Buddhism -Formation and properties of Byeongonguigwe-

한국불교학 | 57 | 2010 | 종교학

한국불교 공양의식 일고-변공(變供)의궤의 형성과 수용-

Consideration on a offering ceremony in Korean Buddhism -Formation and properties of Byeongonguigwe-

한국불교학 | | 57 | 2010 | 종교학

『三國遺事』 惠通降龍條의 전거자료와 기년문제

Reference material and period of an item Hyetonghangryong in Samgukyusa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도상학은 정말 중요한가? :밀교 출현 이전 불상의 존명 규정/판별에 관하여

Does Iconography Really Matter? :The Iconographic Specification of Buddha Images in Pre-Esoteric Buddhist Art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唐代 五臺山 文殊聖地와 국가권력

唐代五臺山文殊圣地和国家权力

동양사학연구 | 119 | 2012 | 역사학

밀교승 혜초의 재고찰 -『表制集』을 중심으로-

Hyecho, Amoghavajra, the Chinese Esoteric Buddhism, Takakusu Junjiro

불교학보 | 55 | 2010 | 기타불교학

밀교승 혜초의 재고찰 -『表制集』을 중심으로-

Hyecho, Amoghavajra, the Chinese Esoteric Buddhism, Takakusu Junjiro

불교학보 | | 55 | 2010 | 기타불교학

동아시아 해양신앙과 제주도의 영등할망· 선문대할망

Ocean Belief in East Asia and Youngdung Halmang and Seonmundae Halmang in Jeju Island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해양신앙과 제주도의 영등할망· 선문대할망

Ocean Belief in East Asia and Youngdung Halmang and Seonmundae Halmang in Jeju Island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不可思議의 『大毘盧遮那供養次第法疏』 찬술 배경과 의의

Bulgasaui's Commentary of Vairocana-Sūtra's Rites of Writing and It's value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密本의 『藥師經』 신앙과 그 의미

Milbon's Bhaisajyaguru-Sutra faith and its significance

한국고대사연구 | 65 | 2012 | 한국고대사

첨성대 옛 기록의 분석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the Regal Authority in the Middle Ages of Silla Dynasty and Esoteric Buddhism(密敎)

동국사학 | 49 | 2010 | 역사학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the Regal Authority in the Middle Ages of Silla Dynasty and Esoteric Buddhism(密敎)

동국사학 | | 49 | 2010 | 역사학

新羅 占察法會와 密敎

Jeomchal Buddhist Mass and Esoteric Buddhism in Silla

동방학지 | 155 | 2011 | 기타인문학

요송시대 중국 밀교의 준제진언 수용 연구 - 『현밀성불원통심요집』을 중심으로

Chinese Esoteric Buddhism in Song dynasty influenced on Koryo Buddhism oriented with xiǎn mì yuántōng chéng fó xīn yào jí

禪學(선학) | 32 | 2012 | 응용불교학

인도밀교와 cārya의 성립에 대한 고찰

Origin of Cārya and Tantric Buddhism in India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