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연구분야 :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87

STNet ID : 9009476

한자 : 大乘起信論
영어 :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y02-01 문헌명

저작자

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진여 () [ 眞如 ]

S:동의

UF (비우선어)

 

 

기신론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훈습 [ 薰習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발심 [ 發心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화엄오교장 () [ 華嚴五敎章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능엄경 [ 楞嚴經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능가경 [ 楞伽經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일심 [ 一心 ]

RT_Y (◄관련어)

관련 문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명 (불교) [ 無明 ]

참회 수행을 통한 현대인의 불교적 치유 -원효의『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Buddhist Healing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Penitence Practice -Focused on Wonhyo’s Mah y na Six-Emotion Penitenc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

A study of Wonhyo's adaptability in six chapter of 『Keumgang-sammaegyounngron』 and his Buddhist evangelization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

A study of Wonhyo's adaptability in six chapter of 『Keumgang-sammaegyounngron』 and his Buddhist evangelization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이지뛰르」의 역주와 『대승기신론』의 시각사위

Marche inverse d'Igitur et quatre marches inverses à/de Tathatā d'Essai éveillant la foi en Mahāyāna

프랑스어문교육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이지뛰르」의 역주와 『대승기신론』의 시각사위

Marche inverse d'Igitur et quatre marches inverses à/de Tathatā d'Essai éveillant la foi en Mahāyāna

프랑스어문교육 |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특수교육론 정립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Discourses as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특수교육론 정립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Discourses as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Establishment of East-Asian Special Education for Rebuilding Education Essentials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동아시아 특수교육 정립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4 | 2011 | 교육학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서술구조에 대한 현상학(Phänomenologie)적 접근 -‘진여(眞如)’ 개념이 갖는 이중성 문제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Focusing on the Duplicity of the Concept of ‘True Suchness(眞如)'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

Implications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rom the viewpoint of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

Implications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rom the viewpoint of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大乘起信論』에 나타난 마음이해와 ‘정법훈습(淨法熏習)’의 내감(內感)교육

The Understanding of Mind and Education of Internal Sense on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大乘起信論)’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大乘起信論』 地論宗 撰述說에 대한 반론

An Objection to the Argu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ithin the Dilun School

불교학보 | 54 | 2010 | 기타불교학

『大乘起信論』 地論宗 撰述說에 대한 반론

An Objection to the Argu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ithin the Dilun School

불교학보 | | 54 | 2010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