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속의 삼족오를 통해 본 ‘3’의 의미 고찰 - ‘해 속의 삼족오’와 한국 사상에 반영된 천지인 합일 사상-
The meaning of ‘3’ discussed through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 With reference to the ideology of the union of heaven, earth and man -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한국불교에서 삶의 의미 문제와 인권(人權) -원효와 지눌의 깨달음[覺]개념을 중심으로-
A Meaning of life in the Korean Buddhism and Human Ri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Awakening at Wonhyo(元曉) and Chinul(知訥)-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본체와 현상의 공속 - 원효와 하이데거 대화의 접점 -
Togetherness of Noumenon and Phenomenon - A Starting Point of Dialogue between Wonhyo and Heidegger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대승기신론소․별기에 나타난 인식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Ⅰ - 앎의 근원과 본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aeseung Kieshin non So․Byelkie i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Focused on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the Natures of Knowledge on Objects -
한국영유아보육학 |
71 |
2012 |
사회복지학
「보성론」에 나타난 종성의 성격
The Concept of Gotra in the Ratnagotravibhāga Revisited
보조사상 |
38 |
2012 |
종교학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 Ⅱ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erm 'Tathāgatagarbha' in the Early Yogācāra School
인도철학 |
32 |
2011 |
철학
‘절대의 마음’에 대한 동서사유의 비교 ─유식과 여래장사상 그리고 칸트와 독일관념론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Concerning ‘The Absolute Mind’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大乘起信論』에 나타난 마음이해와 ‘정법훈습(淨法熏習)’의 내감(內感)교육
The Understanding of Mind and Education of Internal Sense on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大乘起信論)’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연구 현황과 향후과제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mparative-Philosophical Study on Heidegger’s Philosophy and Zen Buddhism and Its Desirable Approach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연구 현황과 향후과제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mparative-Philosophical Study on Heidegger’s Philosophy and Zen Buddhism and Its Desirable Approach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서술구조에 대한 현상학(Phänomenologie)적 접근 -‘진여(眞如)’ 개념이 갖는 이중성 문제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Focusing on the Duplicity of the Concept of ‘True Suchness(眞如)'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불교의 두 주요 개념인 진여와 윤회의 시간론적 해석
A Time-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the Central Concepts of Buddhism, Tathata and Samsara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