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이론과 뒤샹의 성적 현실
Lacan’s Discourse Theory and Duchamp’s Sexual Reality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으로 해석해 본 영화 <매트릭스 1>의 ‘자기’와 ‘세계’ 물음
The Questions of the ‘Self’ and the ‘World’ in the Film interpreted with Heidegger’s Sein und Zeit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Transformation of Metaphysics and New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국제화 시대에 있어 형이상학의 전환과 새로운 교육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창작 과정에 있어 ‘주체화’의 문제 - 김남천의 ‘일신상(一身上)의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
In the creative process, the problem of 'subjectification' - Focusing on Kim Namcheon's the concept of the truth of the intimate -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Civility as a Pedagogical Category
교육학적 범주로서의 시민적 예의
교육철학연구 |
50 |
2010 |
교육학
Civility as a Pedagogical Category
교육학적 범주로서의 시민적 예의
교육철학연구 |
|
50 |
2010 |
교육학
칸트의 미학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Gadamers Kritik ueber Kants Aesthetik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칸트의 미학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Gadamers Kritik ueber Kants Aesthetik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인간-되기와 소설의 발생론적 플롯, <벌레 이야기>
Becoming-man and Plot of Rising-novel, Chung-Joon Lee’s “Worm-story”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간-되기와 소설의 발생론적 플롯, <벌레 이야기>
Becoming-man and Plot of Rising-novel, Chung-Joon Lee’s “Worm-story”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양고전을 통해서 본 聖賢의 글쓰기 교육
A Study on the Writing Education of Confucian in the Classics of the Orient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미학과 정신분석학 : 라캉의 순수욕망 및 근본환상 이론을 중심으로
Aesthetics and Psychoanalysis : Focusing on Lacan's Concepts of Pure Desire and Fundamental Fantasy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세계 개시로서의 진리와 해석 - 가다머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Wahrheit als Welterschließung und Auslegung - Auf die Gadamersche Kunsttheorie eingestellt -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이경 예술철학의 근현대 철학적 기초 - 이경의 하이데거 이해를 중심으로 -
De la formation de la philosophie d’art chez ZOH Yohan (1926-2002) - de son interprétation sur Heidegger -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Authenticity’ 개념에 관한 교육학적 일고찰: 하이데거의 ‘죽음과 탄생’의 교육론
An Educational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of Authenticity: Heidegger's Educational Theory of Death and Birth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
권위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고찰
What is Authority? -An Inquiry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가톨릭철학 |
14 |
2010 |
철학
권위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고찰
What is Authority? -An Inquiry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가톨릭철학 |
|
14 |
2010 |
철학
초기 선교사들의 기독교 교육관과 이 시대 기독교학교 교육의 미래적 대안 ― 부산․경남지방의 기독교 학교 중심으로 ―
Early Missionaries' Christian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Christian Schools' Education for Today - Focussing mainly on Christian school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개인전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Jesus Christ's Personal Evangelism in the Gospels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개인전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Jesus Christ's Personal Evangelism in the Gospels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존재지향적인 길에서 예술작품의 작품내적관계 ―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 (II)
Die innere Beziehung des Kunstwerkes in der ontologischen Hinsicht Heideggers
美學(미학) |
65 |
2011 |
철학
상호주관적 명증의 발생과 타당성의 문제
On the Genesis and Validity of Intersubjective Evidence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Ereignis의 존재사적 의미
Der seinsgeschichtliche Sinn des Wortes “Ereignis”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세계와 대지의 해석
Ein Interpretationsversuch des Welt- und Erdebegriffs in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von Heidegger
해석학연구 |
25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세계와 대지의 해석
Ein Interpretationsversuch des Welt- und Erdebegriffs in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von Heidegger
해석학연구 |
|
25 |
2010 |
철학
니체 이해의 한 시도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Ein Versuch des Verstehens von Nietzsche -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Gerechtigkeit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 이해의 한 시도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Ein Versuch des Verstehens von Nietzsche -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Gerechtigkeit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인식(認識)의 현상학 -카시러(E. Cassirer)에게서 인식론과 문화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Cassirer’s Phenomenology of Knowledge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17세기 이단자, 스피노자
Spinoza, The heathen of 17 century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이단자, 스피노자
Spinoza, The heathen of 17 century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차이의 진리(차연)와 진리(의 차이): 데리다와 바디우의 접점, 주체에서
The Truth of Difference(Différance) and (the Difference of) a Truth: the Tangential Point of J. Derrida and A. Badiou at the Subject.
화이트헤드 연구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차이의 진리(차연)와 진리(의 차이): 데리다와 바디우의 접점, 주체에서
The Truth of Difference(Différance) and (the Difference of) a Truth: the Tangential Point of J. Derrida and A. Badiou at the Subject.
화이트헤드 연구 |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Etre, vérité et sujet dans la philosophie d'Alain Badiou : autour de L'être et l'événement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과학적 가설에서 학설로 인정되기까지의 추이과정 해부. 브레히트의 『갈릴레이의 생애』
Zur Anatomie des Vorgangs bis zur Anerkennung der wissenschaftlichen Hypothese als Lehre. Bertolt Brechts Leben des Galilei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과학적 가설에서 학설로 인정되기까지의 추이과정 해부. 브레히트의 『갈릴레이의 생애』
Zur Anatomie des Vorgangs bis zur Anerkennung der wissenschaftlichen Hypothese als Lehre. Bertolt Brechts Leben des Galilei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푸코와 권력의 문제 -진리를 문제화하며 자유를 추구하는 역사-비판 존재론으로서의 계보학-
Foucault and the Problem of Power-Genealogy as Historico-Critical Ontology to Problematize Truths and to Pursue Freedom-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상담설교의 진리요법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복음과 실천신학 |
21 |
2010 |
실천신학
상담설교의 진리요법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복음과 실천신학 |
21 |
|
2010 |
실천신학
Looking Awry at the Notion of Core Competences in Visual Art Education
시각 예술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개념을 살펴보다.
미술과 교육 |
12 |
2 |
2011 |
미술이론
놀이로서의 예술경험에 대한 미술교육적 이해
An Understanding of Artistic Experiences as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로티의 우연적 진리관과 철학관 비판
A Critique of Rorty’s Contingent View of Truth and Philosophy
철학사상 |
44 |
2012 |
철학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The Ethics of Truths and Bare Life: Badiou and Beckett
현대영미드라마 |
24 |
2 |
2011 |
현대영미희곡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atteo Ricci for Evangelization Today ―His Spirituality of Truth Based on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오늘날 복음화에 있어 마테오 리치가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 ―『천주실의』를 바탕으로 한 진리의 영성―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정제두 철학의 새로운 해석 - 시대적 배경ㆍ선대 철학자 비판ㆍ생리설을 중심으로 -
Die neue Interpretation in der Philosophie der Jeongjedu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헤겔의 ‘절대정신’ 구상에 관한 아펠의 담론이론적 대응의 철학적 의미
Philosphische Bedeutung von Apels diskurstheoretischer Entsprechung zu Hegels Entwurf des ‘absoluten Geist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헤겔의 ‘절대정신’ 구상에 관한 아펠의 담론이론적 대응의 철학적 의미
Philosphische Bedeutung von Apels diskurstheoretischer Entsprechung zu Hegels Entwurf des ‘absoluten Geist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니시다와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
Der Wahrheitsbegriff bei K. Nishida und M. Heidegg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작품존재에서 보는 예술의 본질 ―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 (III)
Das Wesen der Kunst im Hinblick auf dem Kunstwerksein
美學(미학) |
70 |
2012 |
철학
회화 속 미적 진리에 대한 융합․통일․차이의 분석 -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회화론을 토대로 -
L’analyse de la vérité de la beauté dans la peinture par fusion․unification․différence - par la théorie de la peinture phénoménologique, chair-ontologique de Merleau-Ponty -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알랭 바디우 철학의 신학적 수용-알랭 바디우의 <사도바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0 |
2010 |
기독교신학
알랭 바디우 철학의 신학적 수용-알랭 바디우의 <사도바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0 |
2010 |
기독교신학
『순교자』가 제기한 신학적인 질문과 대답
A Theological Question by The Martyred and Its Repl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순교자』가 제기한 신학적인 질문과 대답
A Theological Question by The Martyred and Its Repl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니체의 삶의 예술철학 -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의 시도
Nietzsche’s Philosophy of the Art of Living - the attempt of new ethics in postmodern era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의 삶의 예술철학 -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의 시도
Nietzsche’s Philosophy of the Art of Living - the attempt of new ethics in postmodern era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수사학의 기독교적 전회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교육론』 Ⅳ권을 중심으로 -
Rhetoric of Christianize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수사학의 기독교적 전회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교육론』 Ⅳ권을 중심으로 -
Rhetoric of Christianize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바울 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 바디우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The Literary-Critical Possibility of St. Paul Discussion ― Centering of Badiou and Agambe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대화 가능성 -『하이데거에 대한 메모』에 나타난 야스퍼스의 하이데거 비판점을 중심으로-
A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Jaspers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 Jaspers’ Criticism to Heidegger’s Philosophy in Notizen zu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3 |
2010 |
서양철학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대화 가능성 -『하이데거에 대한 메모』에 나타난 야스퍼스의 하이데거 비판점을 중심으로-
A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Jaspers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 Jaspers’ Criticism to Heidegger’s Philosophy in Notizen zu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
23 |
2010 |
서양철학
「진리 안의 사랑」과 가톨릭 사회론
“Caritas In Veritate” and Catholic Social Doctrine
신학전망 |
168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진리 안의 사랑」과 가톨릭 사회론
“Caritas In Veritate” and Catholic Social Doctrine
신학전망 |
|
168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니체 철학에서 본 인식의 문제-진리개념을 중심으로-
Über das Problem der Erkenntnis in der Philosophie von F. Nietzsche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Wahrheit-
철학연구 |
42 |
2011 |
철학
신수사학과 데카르트 철학 - 카임 페럴만의 관점에서 바라본 데카르트 철학 -
The New Rhetoric and the philosophy of Descartes - Chaim Perelman arguing the philosophy of Descates -
수사학 |
12 |
2010 |
기타인문학
신수사학과 데카르트 철학 - 카임 페럴만의 관점에서 바라본 데카르트 철학 -
The New Rhetoric and the philosophy of Descartes - Chaim Perelman arguing the philosophy of Descates -
수사학 |
|
12 |
2010 |
기타인문학
자유의 문화적 지평
Cultural Horizon of Freedom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자유의 문화적 지평
Cultural Horizon of Freedom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알파벳 순서El orden alfabético』 : 현실 세계와 허구 세계의 경계
La disimetría entre la realidad y la ficción en El orden alfabético
스페인어문학 |
63 |
2012 |
기타스페인문학
진리이론의 틀에서 본 푸코의 진리
Foucault's Concept of the Truth reviewed through the Traditional Theories of Truth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이문열의 『젊은날의 초상』에 나타난 욕망의 구조-진리의 탐색과 알레고리
The Structure of Desire shown in 『The Portrait of the Days of Youth』 by Lee Mun-Yeol-A search for truth and allego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실체적 속성으로서의 진리의 개념과 역할
The Concept and Role of Truth as Inflationary Property
논리연구 |
15 |
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