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

연구분야 : A030102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인식론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66

STNet ID : 9000846

한자 : 認識論
영어 : epistemology
독일어 : Erkenntnistheori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서양 현대 철학 [ 西洋現代哲學 ]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내러티브 인식론 [ --認識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변증법적 인식론 () [ 辨證法的認識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구성주의 () [ 構成主義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발생론적 인식론 () [ 發生論的認識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덕 인식론 [ 認識論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교육 인식론 [ 敎育認識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토대주의 [ 土臺主義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경험주의 [ 經驗主義 ]

hasBranch (분기/분과)

 

 

소피스트 인식론 [ --認識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매체 인식론 [ 媒體認識論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코기토 [Cogito]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과학적 이성 [ 科學的理性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진리 () [ 眞理 ]

R1:개념적

hasState (상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인식론적 위기 () [ 認識論的危機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인간본성에 관한 논고 () [ 人間本性--關--論考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지 구성주의 () [ 認知構成主義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제한된 합리성 [ 制限--合理性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관념론 [ 觀念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논리주의 [ 論理主義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선험적 관념론 [ 先驗的觀念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인간지성론 () [ 人間知性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리시 [ 說理詩 ]

원불교 ‘마음공부’ 본질에 관한 서설(敍說)(Ⅰ)

An Explanation on a Nature of ‘Mind-Practice’in Won-Buddhism(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 ‘마음공부’ 본질에 관한 서설(敍說)(Ⅰ)

An Explanation on a Nature of ‘Mind-Practice’in Won-Buddhism(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커뮤니케이션 질적 연구방법론의 몇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Articulating the discourse analysis with the political economy Focusing on the issues and perspectives of qualitativ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communication studies

언론과 사회 | 18 | 4 | 2010 | 신문방송학

담론분석과 정치경제학의 조우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커뮤니케이션 질적 연구방법론의 몇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Articulating the discourse analysis with the political economy Focusing on the issues and perspectives of qualitativ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communication studies

언론과 사회 | 18 | 4 | 2010 | 신문방송학

湛軒 洪大容의 性理學的 見解 小考

Some thoughts on Confucian views of Damheon Hong Daeyong

漢文古典硏究 | 24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약용 경학사상의 인식론적 전환과 근대 서구과학정신

An Epistemological Shift and Its Modern Scientific Ethos in the Kyunghak Thought of Chung Yak Yong

담론201 | 14 | 2 | 2011 | 사회학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The True Natur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ROK's New North Korea Policy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The True Natur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ROK's New North Korea Policy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The Histories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Infinity and Limit in a Three-fold Role

세 가지 역할과 관련된 무한과 극한의 수학사

수학교육학연구 | 20 | 3 | 2010 | 수학교육학

The Histories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Infinity and Limit in a Three-fold Role

세 가지 역할과 관련된 무한과 극한의 수학사

수학교육학연구 | 20 | 3 | 2010 | 수학교육학

타자의 현전과 언어 ― 「타자성에 대한 해석과 언어의 역할」에 대한 논평

Presence of the Other and Language ― Critique on "Interpretation on the alterity and role of the language"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문학적 유토피아와 철학적 상상력

Literary Utopia and Philosophical Imagination

비교문학 | 55 | 2011 | 인문학

발명영재의 개념 요소 고찰: 기술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A Conceptual Investigation on the Inventively Gifted: With Epistemological Perspective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5 | 3 | 2012 | 교육학

『아들과 연인』에 나타난 갈등의 문제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Conflicts in Sons and Lovers -in the study of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외국학연구 | 19 | 2012 | 기타인문학

‘마음인문학(Mind Humanities)’의 과제와 전망

Issues and Prospect of the Mind Humanitie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마음인문학(Mind Humanities)’의 과제와 전망

Issues and Prospect of the Mind Humanitie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

기호학에서의 도식 개념에 관하여 - 서사도식, 정념도식, 긴장도식을 중심으로

Les concepts de schéma en sémiotique - schéma narratif, schéma passionnel, schéma tensionnel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체계화

Systematization of Global Diaspora Studies

한국동북아논총 | 17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삼위일체론에 대한 과정신학의 반응들

Some Responses of Process Theology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삼위일체론에 대한 과정신학의 반응들

Some Responses of Process Theology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

구성주의적 학습을 위한 토론 수업

Debate Education for Constructivistic Learning

인문사회과학연구 | 28 | 2010 | 학제간연구

구성주의적 학습을 위한 토론 수업

Debate Education for Constructivistic Learning

인문사회과학연구 | | 28 | 2010 | 학제간연구

중세 적대적 유대 정서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연구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Late Medieval Anti-Semitism

중앙사론 | 32 | 2010 | 역사학

중세 적대적 유대 정서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연구

A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Late Medieval Anti-Semitism

중앙사론 | 32 | | 2010 | 역사학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Karl Barth's Position of Mutual Correspondence on the Immanent-Economic Trinity Relation

장신논단 | 37 | 2010 | 기독교신학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Karl Barth's Position of Mutual Correspondence on the Immanent-Economic Trinity Relation

장신논단 | | 37 | 2010 | 기독교신학

대학의 문학교육에서 교수학의 위상 -프랑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Le statut de la didactique dans l'enseignement littéraire universitaire : au sujet des théories françaises

프랑스어문교육 | 3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SF영화에 나타난 인식론적 가상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pistemological Virtual Space Appearing in the SF Films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0 | 1 | 2011 | 기타디자인

내재주의인가 외재주의인가 - 스토아학파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의 논쟁을 중심으로 -

Internalism or externalism? - as regards debates between the Stoics and the Academic sceptics -

동서철학연구 | 58 | 2010 | 철학

내재주의인가 외재주의인가 - 스토아학파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의 논쟁을 중심으로 -

Internalism or externalism? - as regards debates between the Stoics and the Academic sceptics -

동서철학연구 | | 58 | 2010 | 철학

의암 손병희의 ‘이신환성’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What Does the 'Transforming of the Body to the Nature' Mean Philosophically for Uiam(義菴) Son Byunghi(孫秉熙)?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고대 중국 미학의 인식론 시론(試論) –도가의 심미 이론의 역사발전과정을 중심으로–

An Systemic Conceptions in the Ancient Chinese Aesthetics Epistemololgy - On Historic Developments of Daojia Aesthetics Concepts -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고대 중국 미학의 인식론 시론(試論) –도가의 심미 이론의 역사발전과정을 중심으로–

An Systemic Conceptions in the Ancient Chinese Aesthetics Epistemololgy - On Historic Developments of Daojia Aesthetics Concepts -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보르헤스 언어적 세계관과 영화《메멘토》-기억과 망각을 중심으로-

El mundo literario de palabras y Borges y la película Memento - Un análisis de la memoria y el olvido -

중남미연구 | 31 | 1 | 2012 | 지역학

문학교수학의 대상과 근본 문제

Les objets et les questions élémentaires de la didactique de la littérature

프랑스어문교육 | 3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Contents on Korean Inclusion Based on the Postmoderism and Anthropological View Points -In thekorean Law & political backgrou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유아특수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학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Contents on Korean Inclusion Based on the Postmoderism and Anthropological View Points -In thekorean Law & political backgrou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유아특수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학

한국 다문화주의 담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Problems of Korean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칸트의 인식론적 이원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Hegels Kritik am erkenntnistheoretischen Dualismus von Kant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건축과 철학의 인식론적 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pistemological Critique between Philosophy and Architec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1 | 2012 | 디자인

Polskie czasowniki wnioskowania – stan badań, hipotezy i perspektywy

Polish verbs of inference – the state of research, hypotheses and perspectives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John Dewey의 인식론에 나타난 지식의 연속성과 교육

Continuity of Knowledge and Education in John Dewey's Epistemology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John Dewey의 인식론에 나타난 지식의 연속성과 교육

Continuity of Knowledge and Education in John Dewey's Epistemology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장자의 인식론에서 상대주의의 타당성 검토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Relativism in Zhuangzi's Epistemology

대동철학 | 54 | 2011 | 철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국제관계 연구의 인식론: 웬트의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메타이론적 고찰

Epistemologies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Meta-Theory of Alexander Wendt's Scientific Realism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국제관계 연구의 인식론: 웬트의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메타이론적 고찰

Epistemologies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Meta-Theory of Alexander Wendt's Scientific Realism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Revisited, an Epistemological Meaning of Praxis of Liberation Theology

해방신학의실천이론의인식론적의미에 관한 재고찰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체육학의 인과적 지식 정당화 가능성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in caus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플라톤의 ‘이데아의 가설’. 번역과 해석의 문제

Platons Hypothesis der Ideen ― Zur Uebersetzung und Interpretation

대동철학 | 54 | 2011 | 철학

플라톤 넘어서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플라톤주의자' 아우구스티누스 수용-

Thomas d’Aquin et la théorie platonicienne de la connaissance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일상인지연구의 인식론적 전제에 관한 고찰

An Inquiry into Epistemological Premises in the Studies of Everyday Cognition

초등교육연구 | 24 | 1 | 2011 | 교육학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이론적 쟁점과 교육적 의미 탐색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Theoretical Issu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교육심리연구 | 26 | 1 | 2012 | 교육학

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함의 :「판비량론」8절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Won hyo(元曉)'s Epistemology

도덕교육연구 | 24 | 2 | 2012 | 교육학

대승기신론소․별기에 나타난 인식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Ⅰ - 앎의 근원과 본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aeseung Kieshin non So․Byelkie i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Focused on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the Natures of Knowledge on Objects -

한국영유아보육학 | 71 | 2012 | 사회복지학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현실이 아닌 거의 확실한 이유

Why it is almost certain that we do not live in a simulation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