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연구분야 : A030402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고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248

한자 :
그리스어 : Socrates
기타 : Sokrates

y01-01 실존인물

시대

서양 고대 (西洋古代)

출생지

아테네

직업

철학자 (哲學者)

생몰년_t

BC469-BC399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 --對話法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성인 () [ 聖人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리코우르고스 [Lykourgo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아리스티포스 [Aristippo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크세노폰 [Xenophon]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플라톤 () [Platōn]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향연 [ 饗宴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대화편 () [ 對話篇 ]

RT (관련어)

주인공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가 (저서) [ 國家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소피스트 () [sophist]

덕 윤리 중심의 도덕교육 가능성에 대한 모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서구 정의 개념의 지성사적 연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1 | 2010 | 기독교신학

서구 정의 개념의 지성사적 연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1 | 2010 | 기독교신학

플라톤이 말하는 ‘잘 죽기(well dying)’의 의미

The Meaning of Plato’s ‘Well-dying’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플라톤이 말하는 ‘잘 죽기(well dying)’의 의미

The Meaning of Plato’s ‘Well-dying’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플라톤의 ‘명예’의 윤리학

The Ethics of the honor in Plato's dialogues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현대사회에서 교육자의 자기이해: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 논쟁을 중심으로

Der Ironiker Sokrates als das Bild des Erziehers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현대사회에서 교육자의 자기이해: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 논쟁을 중심으로

Der Ironiker Sokrates als das Bild des Erziehers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현대인의 정신건강 : 무엇이 문제인가?

Contemporary Mental Health : What’s the matter?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Das Sein des Dionysischen bei Sokrates und Plat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메타프락시스로서의 메타피직스: 교육이론의 성격

Metaphysics as "Metapraxis" : an Study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Theory

도덕교육연구 | 24 | 1 | 2012 | 교육학

「메논」에 나타난 인식의 문제

The Problem of Knowledge in Meno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메논」에 나타난 인식의 문제

The Problem of Knowledge in Meno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와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

Plato’s Theaetetus and Philosophical Defense of Socratic Life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와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

Plato’s Theaetetus and Philosophical Defense of Socratic Life

한국정치학회보 | 44 | 3 | 2010 | 정치외교학

[국가]편에서 제시된 정의(dikaiosynê)와 좋음(agathon)에 관한 논의

Die Gerechtigkeit und das Gute in Platons Staat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국가]편에서 제시된 정의(dikaiosynê)와 좋음(agathon)에 관한 논의

Die Gerechtigkeit und das Gute in Platons Staat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A Debate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between Socrates and Aristotl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아크라시아 가능성 논쟁: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A Debate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between Socrates and Aristotl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노예철학자 에픽테토스의 명예관

The concept of “Honor(timē)” in Epictetus

철학논총 | 68 | 2 | 2012 | 철학

The Task of Philosophy of Education Today

오늘날 교육철학의 과제

교육철학연구 | 33 | 4 | 2011 | 교육학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교육적 관계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플라톤의 '향연'의 관점에서

Eine Kritische Studie ueber das Erzieherische Verhaeltnis in Selbstgesteuerten Lernen - Im Hinblick auf Platons Symposion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플라톤의 수사학적 교육방법론의 철학적 의미 - 『소크라테스의 변론』, 『팔라메데스 변론』, 『고르기아스』를 중심으로 -

Philosophical Meaning of Methodology of Plato's Rhetorical Education - Focused on Apology of Socrates, Defense of Palamedes, and Gorgias -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하만과 소크라테스

Hamann und Sokrates

괴테연구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Know thyself’ und phronesis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초월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 철학적 에로스와 신앙 - 소크라테스와 키르케고르를 중심으로 -

A Resilient Challenge toward Transcendence: Philosophical Eros and Faith - A study on Kierkegaard and Socrates -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소크라테스와 키에르케고르: 교육원리로서의 아이로니

Socrates and Kierkegaard: Irony as an Educational Principle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크리톤은 왜 소크라테스의 탈옥을 단념했는가?- 수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플라톤의 『크리톤』-

Pourquoi Criton a-t-il abandonné l’évasion de Socrate? - Du point de vue de la rhétorique -

수사학 | 12 | 2010 | 기타인문학

크리톤은 왜 소크라테스의 탈옥을 단념했는가?- 수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플라톤의 『크리톤』-

Pourquoi Criton a-t-il abandonné l’évasion de Socrate? - Du point de vue de la rhétorique -

수사학 | | 12 | 2010 | 기타인문학

소크라테스 재판의 재구성 - 예비적 연구 1 - 재판관련문헌의 역사성 -

Reconstruction of the Trial of Socrates in legal and historical contexts: - Preliminaries (1) - The Historicity of Socratic Sources -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소크라테스의 비극과 해소 - 칸트의 합법성 또는 헤겔의 인륜성을 통해

Die Tragödie des Sokrates und deren Auflösung- durch die kants Legalität oder die hegels Sittlichkei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의 분석: 그는 유죄인가 무죄인가?

The Defense of Socrates in Apology: is he guilty or innocent?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소크라테스의 변론의 분석: 그는 유죄인가 무죄인가?

The Defense of Socrates in Apology: is he guilty or innocent?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용기의 두 얼굴 -등장인물 간의 대결 구도를 통해 본 플라톤의 『라케스』

Pourquoi le titre du Lachès est-il “Lachès”?

서양고전학연구 | 43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소크라테스와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enes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in SOCRTES and WAGN YANG-Ming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2 | 2012 | 원불교학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āgā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도덕과교육: '악법‘과 ’준법‘

Socratic Citizenship and Moral Subject Education: 'Bad Law' and 'Law-abiding'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페리클레스적 시민성의 조화에 근거한 바람직한 민주 시민성의 탐색

An Inquiry of the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hip founded on the Harmony of Socratic Citizenship and Periclean Citizenship

윤리연구 | 1 | 83 | 2011 | 학제간연구

소크라테스와 용수의 귀류법에 대한 상호문화철학적 이해를 위하여 - 소크라테스의 논박(Elenchos)과 용수의 논힐(vitandā)을 중심으로 -

To Understand on Reductio ad absurdum(prāsṅga) used by Socrates and Nāgārjuna, Intercultural-Philosophically - Focusing on 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vitandā -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