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신체적 로고스에서 신체적 에토스로: 몸의 수사학
From Disembodied Logos to Embodied Ethos: The Rhetoric of Body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서구 정의 개념의 지성사적 연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1 |
2010 |
기독교신학
서구 정의 개념의 지성사적 연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1 |
2010 |
기독교신학
플라톤의 ‘명예’의 윤리학
The Ethics of the honor in Plato's dialogues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M. Butterfly에 나타난 법의 무대와 무대의 법
The Theater of Law and the Law of Theater in M. Butterfly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M. Butterfly에 나타난 법의 무대와 무대의 법
The Theater of Law and the Law of Theater in M. Butterfly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예술과 도덕: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Art and Morality: Oakeshott's Concept of 'Poetic Imagination' and Its Implications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예언과 시뮬라크르- 시뮬라크르 개념으로 살펴보는 에스겔서 40-48장의 환상
Prophecy and Simulacre- A Study on the Vision of Ezekiel 40-48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imulacre
신학사상 |
154 |
2011 |
기독교신학
플라톤의 적도(適度; to metrion) 사상
'to metrion' in Plato's Later Dialogues
철학논집 |
26 |
2011 |
철학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Das Sein des Dionysischen bei Sokrates und Plat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Ethics and Antiquity: Anticipating Postmodernity
윤리와 고대의 유산: 포스트모던을 예상하며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제2장 국가보훈, 정치사상적 논의와 6‧25 전쟁
National Veterans Affairs, Major Political Thoughts on Security, and the Korean War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메타프락시스로서의 메타피직스: 교육이론의 성격
Metaphysics as "Metapraxis" : an Study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Theory
도덕교육연구 |
24 |
1 |
2012 |
교육학
소은 박홍규의 ‘아페이론’ 이해
Sowoon Park Hong-Gyu’s Understanding of Apeiron
철학사상 |
39 |
2011 |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형사변론술
Plato’s ‘Apology of Socrates’ and Defence Skills
서울대학교 법학 |
53 |
3 |
2012 |
법학
요한복음 1장 13절의 ‘철학적 본문비평’: 플라톤 철학의 상기설과 영혼론을 중심으로
John 1:13: ‘Philosophical/Textual Criticism’ and Plato’s Philosophy
인문학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플라톤이 말하는 ‘잘 죽기(well dying)’의 의미
The Meaning of Plato’s ‘Well-dying’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플라톤이 말하는 ‘잘 죽기(well dying)’의 의미
The Meaning of Plato’s ‘Well-dying’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플라톤 철학에 있어서 신화의 역할
The Role of Myth in Plato's Philosophy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사변적 변증법 형성을 위한 플라톤 변증법에 대한 헤겔의 해석
Hegels Interpretation der platonischen Dialektik fuer die Formung seiner spekulativen Dialektik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사변적 변증법 형성을 위한 플라톤 변증법에 대한 헤겔의 해석
Hegels Interpretation der platonischen Dialektik fuer die Formung seiner spekulativen Dialektik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Routinization of Violence and Humanities Therapy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Routinization of Violence and Humanities Therapy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
[국가]편에서 제시된 정의(dikaiosynê)와 좋음(agathon)에 관한 논의
Die Gerechtigkeit und das Gute in Platons Staat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국가]편에서 제시된 정의(dikaiosynê)와 좋음(agathon)에 관한 논의
Die Gerechtigkeit und das Gute in Platons Staat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개혁신학적 입장에서 바라본 관상기도
Reformed Theology and Contemplative Prayer
개혁논총 |
21 |
2012 |
기독교신학
초등교육과 교사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미학적 탐구
An Aesthetic Inquiry on the Essential Meaning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eacher
교육사상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생명의 원리에서 인격의 중심에로―서양철학적 관점에서 본 영혼론-
From “Principle of Life” to “Center of Persona” - The Western Philosophy on Soul -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
플라톤의 '예술가 추방론'에 대한 헤겔의 해석
G. W. F. Hegel's Interpretation of Plato's Exile of Artists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플라톤의 '예술가 추방론'에 대한 헤겔의 해석
G. W. F. Hegel's Interpretation of Plato's Exile of Artists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소크라테스 재판의 재구성 - 예비적 연구 1 - 재판관련문헌의 역사성 -
Reconstruction of the Trial of Socrates in legal and historical contexts: - Preliminaries (1) - The Historicity of Socratic Sources -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서구 철학자들의 언어관과 언어학 발전의 역사적 고찰
Greek Philosophers' Thoughts on Language and Their Contributions to Linguistic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서구 철학자들의 언어관과 언어학 발전의 역사적 고찰
Greek Philosophers' Thoughts on Language and Their Contributions to Linguistic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역사적인 제논으로부터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에 나타난 제논에로의 발전과 수용에 대한 연구
A Study in the Development and Reception from the historical Zeno to the Zeno in the Parmenides of Plato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역사적인 제논으로부터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에 나타난 제논에로의 발전과 수용에 대한 연구
A Study in the Development and Reception from the historical Zeno to the Zeno in the Parmenides of Plato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용기의 두 얼굴 -등장인물 간의 대결 구도를 통해 본 플라톤의 『라케스』
Pourquoi le titre du Lachès est-il “Lachès”?
서양고전학연구 |
43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試探東、西方功利主義文藝觀的雛形——以孔子、柏拉圖、亞理斯多德爲中心
A study on the early stage of Utilitarianism and Aesthetics - Focused on Confucius, Plato, and Aristotle -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플라톤 사상이 근대 천문학 탄생 과정에 끼친 영향
The effects of the Platonic ideas in the Procedures of the Modern Astronomy Birth
서양고대사연구 |
|
27 |
2010 |
역사학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Aristotle’s Criticism of Plato’s Republic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신(神)을 닮는 것: 스토아 윤리학 및 자연철학에 전해진 플라톤의 유산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Resembling God: Plato’s Legacy Transmitted to Stoic Ethics and Natural Philosophy -A Study Focused on Timaeus-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신(神)을 닮는 것: 스토아 윤리학 및 자연철학에 전해진 플라톤의 유산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Resembling God: Plato’s Legacy Transmitted to Stoic Ethics and Natural Philosophy -A Study Focused on Timaeus-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플라톤의 자기 연관성(Selbstbezüglichkeit)에 대한 상호문화 철학적 이해
Das interkulturelle Verständnis des platonischen ‘Wissens des Wissen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플라톤의 자기 연관성(Selbstbezüglichkeit)에 대한 상호문화 철학적 이해
Das interkulturelle Verständnis des platonischen ‘Wissens des Wissen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미메시스에서 스토리로 - 형식주의적 이론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Von Mimesis zu Mythos ― Die Poetik des Aristoteles als formalistische Theorie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Die Dialektik der Kontradiktion und Unterscheidung ― Elenchos des Sokrat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동서철학연구 |
58 |
2010 |
철학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동서철학연구 |
|
58 |
2010 |
철학
플라톤의 철인왕 통치
Plato's rule of philosopher-king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달래기 힘든 격정(thymos), 그러나 고귀한 격정 -『국가』에서 ‘격정’이 가지는 함축과 분화-
The Spirit Hard to Assuage, but Decent: The Implication and Bifurcation of the Spirit (thymos) in the Republic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플라톤의 ‘이데아의 가설’. 번역과 해석의 문제
Platons Hypothesis der Ideen ― Zur Uebersetzung und Interpretation
대동철학 |
54 |
2011 |
철학
플라톤 철학의 선-형이상학적인 구조
Die vor-metaphysische Struktur in der Platons Philosophie
철학탐구 |
29 |
2011 |
철학
‘자기운동자’에서 ‘자기차생자’로: 플라톤과 베르그송 -소은 박홍규의 해석을 중심으로-
Du “soi-mouvant” au “soi-différant”: Platon et Bergson autour de l’interpretation de Sowoon Park Hong-Gyu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자기운동자’에서 ‘자기차생자’로: 플라톤과 베르그송 -소은 박홍규의 해석을 중심으로-
Du “soi-mouvant” au “soi-différant”: Platon et Bergson autour de l’interpretation de Sowoon Park Hong-Gyu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문학적 유토피아와 철학적 상상력
Literary Utopia and Philosophical Imagination
비교문학 |
55 |
2011 |
인문학
플라톤 넘어서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플라톤주의자' 아우구스티누스 수용-
Thomas d’Aquin et la théorie platonicienne de la connaissance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자 연철학에서 무엇을 배웠나?- 물질의 기본 단위로서 4요소 이론의 경우 -
What Plato learns from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 In the Case of the Theory of four Elements -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플라톤의 정치이론 체계에서 『법률(Nomoi)』의 의의 -『법률(Nomoi)』의 독해방식에 대한 하나의 제안-
The Significance of 『Nomoi(Laws)』 in the System of Plato’s Political Theory -A Suggestion on How to Read 『Nomoi(Laws)』-
법사학연구 |
42 |
2010 |
법사학
플라톤의 정치이론 체계에서 『법률(Nomoi)』의 의의 -『법률(Nomoi)』의 독해방식에 대한 하나의 제안-
The Significance of 『Nomoi(Laws)』 in the System of Plato’s Political Theory -A Suggestion on How to Read 『Nomoi(Laws)』-
법사학연구 |
|
42 |
2010 |
법사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파이돈』, 『파이드로스』와 『국가』를 통해 본 플라톤의 신체와 영혼의 가치이원적 관계
A study on the body and the soul in Plato's philosoph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1 |
2011 |
체육
플라톤 철학에 나타난 무용의 의미
A Study on Meaning of Dance in the Philosophy of Plato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3 |
2011 |
체육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교육적 관계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플라톤의 '향연'의 관점에서
Eine Kritische Studie ueber das Erzieherische Verhaeltnis in Selbstgesteuerten Lernen - Im Hinblick auf Platons Symposion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Sui generis-플라톤의 철학적 드라마
Sui generis-das philosophische Drama Platons
서양고전학연구 |
45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플라톤의 이미지이론과 가시성
Die Bildtheorie von Platon und die Sichtbarkeit des Bildes
괴테연구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플라톤의 인치와 법치:철인통치의 법치화
Plato'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er's King through rule of law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플라톤의 인치와 법치:철인통치의 법치화
Plato'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er's King through rule of law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동서양의 감정이해 − 플라톤과 율곡을 중심으로 −
Die Auffassung der Emotion im Abendland und Ostasien - Mit Schwerpunkt auf Platon und Yulg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인간의 轉落과 完成에 관한 플라톤과 불교사상의 관점 비교
The comparison of Platonism with Buddhism to the perspective on human degradation and completion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제7서한』에 나타난 플라톤의 교육론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Plato’s 7th Epistles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루소사상에서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종교’: 플라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igion' as political ideology in Rousseau's thought by comparing with Plato
교육철학연구 |
49 |
2010 |
교육학
루소사상에서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종교’: 플라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igion' as political ideology in Rousseau's thought by comparing with Plato
교육철학연구 |
|
49 |
2010 |
교육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āgā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철학적 기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Der philosophische Ursprung der Ideenlehre Platons: Eine kritische Betrachtung ueber die Erklaerung des Aristoteles
철학연구 |
88 |
2010 |
철학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철학적 기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Der philosophische Ursprung der Ideenlehre Platons: Eine kritische Betrachtung ueber die Erklaerung des Aristoteles
철학연구 |
|
88 |
2010 |
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해석-티마이오스와 천체론, 생성소멸론에 나타난 우주론과 요소 이론 비교-
Plato and Aristotle on Cosmos and Elements: Comparing the Timaeus with De Caelo and De Generatione et Corruptione
해석학연구 |
25 |
2010 |
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해석-티마이오스와 천체론, 생성소멸론에 나타난 우주론과 요소 이론 비교-
Plato and Aristotle on Cosmos and Elements: Comparing the Timaeus with De Caelo and De Generatione et Corruptione
해석학연구 |
|
25 |
2010 |
철학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절제와 시민교육
Temperance and Civil Education on Plato's Nomoi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
정의와 정당화 : 플라톤 「국가론」의 교육학적 해석
Justice and Justification in Plato's Republic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정의와 정당화 : 플라톤 「국가론」의 교육학적 해석
Justice and Justification in Plato's Republic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