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

연구분야 : A080900 인문학 > 불교학 > 선학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83

한자 : 禪宗
영어 : Zen
동의어(UF) : 선불교(禪佛敎)
영어 : Zen Buddhism
기타 : Seon Buddhism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오교양종 () [ 五敎兩宗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북종선 [ 北宗禪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칠종 [ 七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선원 [ 禪院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선불교 () [ 韓國禪佛敎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삼현 [ 三玄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중종 () [ 淨衆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천태종 () [ 天台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구산선문 [ 九山禪門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수심결 [ 修心訣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선문답 [ 禪問答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정혜쌍수 [ 定慧雙修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천동사 () [ 天童寺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능 [ 慧能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대흥사 [ 大興寺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선지식 () [ 善知識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조동종 () [ 曹洞宗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오가칠종 () [ 五家七宗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오가 [ 五家 ]

RT_Y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4대 종지 () [ 四大宗旨 ]

RT_Y (◄관련어)

관련 종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법맥 [ 法脈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교종 [ 敎宗 ]

선과 경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A grope for new paradigm in Seon & Sūtras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播種期農作物에 대한 農民의 生態認識 - 『齊民要術』과 『農桑輯要』를 中心으로 -

關于播種期農作物農民的生態認識 - 以『齊民要術』和『農桑輯要』爲中心 -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詠物詩의「不卽不離」的 창작기법에 관한 小考

중국학논총 | 33 | 2011 | 중국문화학

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道生의 頓悟說

Dao-sheng(道生)’s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說)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영남대 소장 구결 자료 ‘大慧普覺禪師書’에 대하여

On the Kugyol Material Daehyebogakseonsaseo (大慧普覺禪師書) in the Dongbin(東濱)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新發現的新羅入唐求法僧惠覺禪師之碑銘

史叢(사총) | 73 | 2011 | 기타역사일반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ne-build sa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ulgoksa temple in Changwon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ne-build sa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ulgoksa temple in Changwon

문물연구 | 18 | 18 | 2010 | 역사학

唐 武宗의 불교정책과 禪宗

The Buddhism Suppression Policy of T'ang Emperor Wu-tsung and the Rise of Zen Buddhism

禪學(선학) | 25 | 2010 | 응용불교학

唐 武宗의 불교정책과 禪宗

The Buddhism Suppression Policy of T'ang Emperor Wu-tsung and the Rise of Zen Buddhism

禪學(선학) | | 25 | 2010 | 응용불교학

唐代 茶詩의 형성, 그 표현형식과 정신세계

The Development of the Poetry of Teas on the Tang Dynasty, it's Expression and Neurotheology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禪院의 생태적 사유와 전통

A Study on the Ecological Grounds and Traditions of Korean Zen Monasticism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신라하대 ‘國內派’ 禪僧 연구 -현황과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me-Grown’ Zen Monks during Late Silla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and aspects of existence-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포은 정몽주의 불교와의 교류

A study on the Poeun(圃隱) Jung MongJoo(鄭夢周)’s intercourse with a Buddhist group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新羅 下代 僧侶들의 入唐 留學과 禪宗 佛敎 문화의 擴散

Buddhist Priests Return from Tang China and the Subsequent Spread of Sŏn Buddhist Culture in Late Silla Korea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唐末五代變革期 선종의 흥기배경

Background of Zen's Uprising in the late Tang and the transitional Five Dynasties periods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唐末五代變革期 선종의 흥기배경

Background of Zen's Uprising in the late Tang and the transitional Five Dynasties periods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