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친

연구분야 : A030304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인도철학
A080100 인문학 > 불교학 > 근본불교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8260

STNet ID : 1002472

한자 : 世親
범어(산스크리트) : Vasubandhu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천친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진나 [ 陳那 ]

hasAgent ((행위)주체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설일체유부 [ 說一切有部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승장엄경론 [ 大乘莊嚴經論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대승불교 () [ 大乘佛敎 ]

RT (관련어)

 

 

무착 [ 無着 ]

壞法論宗과 Vaitulika ─有部 아비달마에서의 ‘대승’ 이해

Huàifălúnzōng(壞法論宗) and Vaitulika ―Understanding of ‘Mahāyāna’ in Abhidharma-śāstra

불교학연구 | 28 | 2011 | 불교학

요가 철학에서 비판한 불교의 실체 : 요가주 제3장을 중심으로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과 『능가경』(Laṅkāvatārasūtra)

Kośakāra Vasubandhu and the Laṅkāvatārasūtra

인도철학 | 32 | 2011 | 철학

세친 정토론의 정토사상과 유식불교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Study of Vasubandhu's Thought of Pure Land in Treatise on Pure Land and Yogācāra

인도철학 | 31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