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5

한자 : 朝鮮王朝實錄
동의어(UF) : 실록(實錄)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국보 (國寶)

유형/장르

실록 (實錄)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장처(자)

대한민국 (大韓民國)

관리자(처)

[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지정호수_t

국보 제151호

지정일자_t

1973-12-31

주소_t

서울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사고 [ 史庫 ]

hasSubject (주제)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귀중본 [ 貴重本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世界記錄遺産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인조실록 () [ 仁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현종실록 [ 顯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태종실록 () [ 太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태조실록 [ 太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문종실록 () [ 文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헌종실록 [ 憲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철종실록 [ 哲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조실록 [ 正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예종실록 [ 睿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영조실록 [ 英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순조실록 [ 純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세종실록 [ 世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숙종실록 [ 肅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명종실록 [ 明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광해군일기 () [ 光海君日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종실록 [ 端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경종실록 [ 景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종실록 [ 高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중종 실록 [ 中宗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선조실록 [ 宣祖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

y02-01 문헌명 문헌명

현종대왕개수실록 () [ 顯宗大王改修實錄 ]

hasComponent (구성요소)

 

 

인종실록 () [ 仁宗實錄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사초 [ 史草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편년체 [ 編年體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

y02-01 문헌명 문헌명

선조수정실록 () [ 宣祖修正實錄 ]

오대산 월정사의 역사와 전통

A history and tradition of Woljeongsa Temple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洪武 年間 白話 聖旨의 語氣助詞 考察 - 《高麗史》와 《朝鮮王朝實錄》의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Vernacular Imperial Edicts of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Dynasty & Modal Particle — take『Goryeosa』,『Joseon Silrok』as its center —

중국어문학지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洪武 年間 白話 聖旨의 語氣助詞 考察 - 《高麗史》와 《朝鮮王朝實錄》의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Vernacular Imperial Edicts of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Dynasty & Modal Particle — take『Goryeosa』,『Joseon Silrok』as its center —

중국어문학지 |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대산 월정사의 역사와 전통

A history and tradition of Woljeongsa Temple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Changes of Historical Facts in the Making of History of Goryeo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Changes of Historical Facts in the Making of History of Goryeo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한문고전번역의 특성과 과제

Characteristics and Task of Chinese classic book translation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龍飛御天歌》正音 表記 地名과 漢字語 地名의 對立, 變遷에 관한 硏究 ~·쇠 · : 淵遷 · 金遷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Opposition and Transformation of Native Toponym Words and Sino-Korean Toponym Words in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번역 개념의 역사

History of the Concept of Translation in Korea: Exploration of the Word ‘飜譯’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통번역학연구 | 15 | 2011 | 통역번역학

조선전기 재정행정체계 확립을 위한 회계제도의 정립

Modify of Accounting Regulations for Establish Public Finance System in Early Choson Dynasty

한국행정사학지 | 26 | 2010 | 행정사

조선전기 재정행정체계 확립을 위한 회계제도의 정립

Modify of Accounting Regulations for Establish Public Finance System in Early Choson Dynasty

한국행정사학지 | | 26 | 2010 | 행정사

세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King Sejo's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Fifteenth-century Korea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세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King Sejo's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Fifteenth-century Korea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세종 조 중앙 정부조직의 운영에 관한 연결망 분석 - 조선왕조실록의 자료를 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Euijeong Bu Decision-Making System in Chosun Dynasty

한국정책학회보 | 20 | 4 | 2011 | 정책학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Choson's recognition about Vietnam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조선-明 관계 외교문서의 정리와 분석 -『吏文』,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소재 문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and Analysis on Diplomacy Documents of Imun with Goryeo-sa, Joseon Silrok between Goryeo, Joseon and Ming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고려․조선-明 관계 외교문서의 정리와 분석 -『吏文』,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소재 문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and Analysis on Diplomacy Documents of Imun with Goryeo-sa, Joseon Silrok between Goryeo, Joseon and Ming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Choson's recognition about Vietnam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게키요(景清)에 대한 일고찰 -또 다른 가게키요를 중심으로-

One consideration on「Kagekiyo」

일어일문학 | 50 | 2011 | 일본어와문학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국학자 홍기문 연구 3: 일제 말의 은둔 생활과 학문

Study on Hong Ki-Moon, Scholar of Korean Studies (3): Life in Seclusion and Studies of Hong Ki-Moon during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조선왕조실록』 한일관계기사 번역 검토

Stud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Korea and Japan Related Part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38 | 2011 | 역사학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文字’의 의미

The Meanings of Munja(文字) in the Chosŏn Dynasty Annals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太宗實錄』국역본에 나타난 白話 資料의 번역 오류

Errors in the vernacular translat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Taejong

중국연구 | 49 | 2010 | 중국어와문학

『太宗實錄』국역본에 나타난 白話 資料의 번역 오류

Errors in the vernacular translat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Taejong

중국연구 | 49 | | 2010 | 중국어와문학

朝鮮時代 『國語』 流通과 活用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The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uoYu』 in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時代 『國語』 流通과 活用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The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uoYu』 in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王朝實錄』字形檢討 - 鼎足山本 太祖, 太宗 『實錄』을 중심으로

Review of the Han Character shape us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朝鮮王朝實錄)” - focus on “The Annals of the Kings Taejo (太祖, 1392∼1398), Taejong (太宗, 1401-1418)” in Jeongjoksan(鼎足山)history library verison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The Ideas on Education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 Focused on the era after King Seonjo(선조)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The Ideas on Education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 Focused on the era after King Seonjo(선조)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조선왕조실록≫ 천문기상기록의 자료적 한계와 보완 방안-문종과 세조대의 재이/상서 기록을 중심으로-

Limitations of Astrometeorological Recor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Supplements -Focusing on records of phenomena in heavens and natural calamities in the regin of Mungong and Sejo.-

동아인문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정성공(鄭成功) 일가에 대한 조선정부의 인식 변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Change in Josun Government's Perception of Zhèng Chénggōng Family

일어일문학 | 55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