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용군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B200000 사회과학 > 군사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8

STNet ID : 1000825

한자 : 朝鮮義勇軍
기타 : Korean Volunteer Army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소재지1

북만주 (北滿洲)

구분

독립운동 단체 (獨立運動團體)

설립목적_t

항일무장투쟁

설립일자_t

1919년 4월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사량 (1914-1950) [ 金史良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노마만리 [ 駑馬萬里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항일 운동 () [ 抗日運動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의병 () [ 義兵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Kim Hak-Moo’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left Youth Group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Kim Hak-Moo’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left Youth Group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김사량의 희곡 <호접> 연구

A Study of Kim, Sa-Ryang’s play Hojeop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