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국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9

STNet ID : 1000826

한자 : 朝鮮人

a01-04-02 국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징용 [ 徵用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오족협화 [ 五族協和 ]

‘東亞’ 트라우마, 제국의 지정학적 공간과 ‘이등신민’의 정치학

‘Dong-A’ Trauma: Semiotic Politics of ‘Second class Subject’ in Multi-ethnic Manchuria, Geopolitical Space of Japanese Imperialism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複合民族國家’의 파탄: 만주국의 붕괴와 ‘滿洲國人’의 충돌・수난

‘複合民族国家’的破落:满洲国的崩溃和‘满洲国人’的冲突·苦难

중국사연구 | 78 | 2012 | 동양사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를 둘러싼 갈등 -조선총독부와 남한사회의 인식 및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South Korean Society on Japanese’ Repatriation from Korean Peninsula to Japa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3 | 2010 | 역사학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를 둘러싼 갈등 -조선총독부와 남한사회의 인식 및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South Korean Society on Japanese’ Repatriation from Korean Peninsula to Japa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3 | 2010 | 역사학

근대 중국과 일본의 언론매체에서 보이는 조선여성 표상 연구

近代 中国と日本の言論媒体にみる朝鮮女性の表象に関する一考察 - 『婦女新聞』と『婦女雜誌』を中心に

동양사학연구 | 116 | 2011 | 역사학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纪后半期朝鲜人移居间岛、沿海洲地区比较

19세기 후반기 조선인들의 연해주와 간도이주 비교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世纪后半期朝鲜人移居间岛、沿海洲地区比较

19세기 후반기 조선인들의 연해주와 간도이주 비교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下 조선인 기업가의 사회적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Background of Chosun Entrepreneurs under Japanese Imperialism

일본근대학연구 | 37 | 2012 | 일본문화학

재일한국인·조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 13 | 2010 | 일본어와문학

재일한국인·조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일본연구 | | 13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The movement of Korean to the South Sea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The movement of Korean to the South Sea Islands and the characteristic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제2차 세계대전기 인도네시아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urse of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Palembang,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다케히사 유메지와 관동대지진 그리고 조선 ― 회화와 사상성 ―

Takehisa Yumeji, Great Kanto Earthquake, and Joseon: Paintings and thoughts

아시아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A Study on Transmission and Meanings of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