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실주의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933

한자 : 主體寫實主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북한 문학 () [ 北韓文學 ]

북한의 민족형식과 朝鮮美 담론-『건축예술론』(1992), 『미술론』(1992)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Style in North Korean Art World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의 이행 -‘해방후 평화적 민주건설시기’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기술 변화

Transition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Evolution of the Description of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 60년대 북한미술과 정현웅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60s and Jeong Hyeon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1950, 60년대 북한미술과 정현웅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60s and Jeong Hyeon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주체문학론』의 이념과 창작방법

An ideology and methodology of 『Juche-Munhak』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 화집 『오늘의 조선화』(1980)를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Ideological Character of Child Image in the North Korean Painting

미학예술학연구 | 32 | 2010 | 기타예술체육

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 화집 『오늘의 조선화』(1980)를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Ideological Character of Child Image in the North Korean Painting

미학예술학연구 | 32 | | 2010 | 기타예술체육

북한음악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North Korea Music And Socialist realism

남북문화예술연구 | 6 | 2010 | 기타예술일반

북한음악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North Korea Music And Socialist realism

남북문화예술연구 | | 6 | 2010 | 기타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