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학

연구분야 : A140100 인문학 > 기타동양어문학 > 북한어문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51

STNet ID : 1000428

한자 : 北韓文學
영어 : North Korean literature

d01-03 분과학문

해당국가

북한 (北韓)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주체사실주의 () [ 主體寫實主義 ]

S:동의

UF (비우선어)

 

 

이북 문학 () [ 以北文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북한 어문학 [ 北韓語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실화 문학 [ 實話文學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체문예이론 () [ 主體文藝理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용악 [ 李庸岳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소련기행 [ 蘇聯紀行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문학사 () [ 朝鮮文學史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북한 소설 () [ 北韓小說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문학신문 [ 文學新聞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 The Focusing Kim hak―ryeol‘s poetry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명희 시 연구 -구소련에서 발표한 詩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m of Cho Myung Hee -Mainly about the poem announced in the former USSR-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찬의 개작시(改作詩) 양상과 의의

Focusing on aspects of the adaptation poem of Lee Chan and its significance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북한 탄광시의 주제적 특성 고찰

A Study on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Coal Mine Poems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소(在蘇) 고려문인들의 북한문학 형성기의 활동과 역할 -조기천을 중심으로-

The activity and roles of Koryo literary men in USSR of forming North Korean literature - Focusing on Jo Ki Cheon -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趙基天論 -생애와 문학 활동에 대한 재검토-

Discourse on Cho Ki Cheon -Review on His Life and Literary Activit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趙基天論 -생애와 문학 활동에 대한 재검토-

Discourse on Cho Ki Cheon -Review on His Life and Literary Activit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한 현대문학사 인식의 거리 -북한의 일제 강점기 문학사 재검토

Gap in the Perception Toward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Review on the North Korean Book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한 현대문학사 인식의 거리 -북한의 일제 강점기 문학사 재검토

Gap in the Perception Toward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Review on the North Korean Book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혁명과 북한문학―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문학신문』을 중심으로

The April Revolutio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Joseon Writers Alliance Bulletin 『Munhak Sinmu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홍길동전>에 담긴 상생(相生)의 문제

A Study on the Win-Win Approach through discussed in North Korea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홍길동전>에 담긴 상생(相生)의 문제

A Study on the Win-Win Approach through discussed in North Korea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

이찬 시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about Lee Chan’s poet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North Korea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

해방 이후의 이찬의 시 세계

The Poetic World of Lee Chan after liberatio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사량과 북한 문학의 정치적 거리

The last days of a revolutionist writer - The political distance between Kim Sa-ryang and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북한 문학에 반영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Japanese-Korean Diaspora on North Korea Literature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 문학에 반영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Japanese-Korean Diaspora on North Korea Literature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

남대현의 ≪청춘송가≫ 연구 - 주인공의 의식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eongchun Songa(A hymn of youth)≫ by Nam Dae-Hyeon - Mainly concerns the changes of the protagonist's consciousness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대현의 ≪청춘송가≫ 연구 - 주인공의 의식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eongchun Songa(A hymn of youth)≫ by Nam Dae-Hyeon - Mainly concerns the changes of the protagonist's consciousness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특징 —『新日本文學』과 『人民文學』을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to Japan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ts features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magazines, 'Shinnihonbungaku' and 'Zinminbungaku' -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eriod of North Korean Poetics -Focusing on Munhwa Jeonseon(Cultural Front)-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개성 지역문학의 전개 -북한 지역문학사 연구 1

A Regional Studies o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1 : Issued on Kaesong City

국제언어문학 | 25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북한문학의 내적 변모와 남⋅북 문학의 소통 가능성 - 남대현의 『통일련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n literature - Mainly concerns 『Tongil Ryeonga(A love song of reunification)』 by Nam Dae-hyeon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의 내적 변모와 남⋅북 문학의 소통 가능성 - 남대현의 『통일련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n literature - Mainly concerns 『Tongil Ryeonga(A love song of reunification)』 by Nam Dae-hyeon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소설에 나타난 6.25전쟁 전후 서울과 평양의 도시 이미지

Comparison of the Images of Seoul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s Manifest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