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결 어미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85

STNet ID : 1000835

한자 : 終結語尾
영어 : sentence final ending
영어 : sentence-closing ending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미 () [ 語尾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말 어미 () [ 語末語尾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대응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비종결 어미 [ 非終結語尾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향법 [ 意向法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는데 () [-는데/은데]

조사 통합형 접속어미의 특징

A Characteristic of the particle-restructured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국제언어문학 | 24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학령전기 일반아동의 발화유형과 발화 종결기능 어미 사용 특성

Utterance Types in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er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7 | 3 | 2012 | 교육학

박목월 시에 나타난 경상도 방언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Gyeongsang Provinces dialect in Park, Mok-Yeoul'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고'류 어미의 형성과 의미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a Ending “-dago” and its Kind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고'류 어미의 형성과 의미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a Ending “-dago” and its Kind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A Study of Interlanguage Intonation Manifested in Non-final Endings that Behave like Final Ending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A Study of Interlanguage Intonation Manifested in Non-final Endings that Behave like Final Ending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원 황씨 한글 간찰의 종결어미 형태

A Study of final ending in the Changwon Hwangs' Eonga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자우편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실현 요소에 대한 경향성 분석

Study on the tendency in using the honorifics shown in the E-mails of the Chinese learners

국어교육연구 | 25 | 2010 | 국어교육

전자우편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실현 요소에 대한 경향성 분석

Study on the tendency in using the honorifics shown in the E-mails of the Chinese learners

국어교육연구 | | 25 | 2010 | 국어교육

借字表記 資料에 나타나는 ‘-齊’의 文法範疇와 意味

Grammatical Category and Meaning of ‘-져’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借字表記 資料에 나타나는 ‘-齊’의 文法範疇와 意味

Grammatical Category and Meaning of ‘-져’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싶다’ 構文의 歷史的 變化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Sipda’ Construc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싶다’ 構文의 歷史的 變化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Sipda’ Construc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종결어미에 대하여 - 종결어미와 종결어미의 통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hortened Conclusive-End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Compound Forms of Double Conclusive-Endings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국어의 문장 종류에 관한 역사적 고찰-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Sentence types of Korean.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문장 종류에 관한 역사적 고찰-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Sentence types of Korean.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져’의 문법 기능 변화와 해석

The functional change in grammar of ‘-kwocye’ and interpretation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고져’의 문법 기능 변화와 해석

The functional change in grammar of ‘-kwocye’ and interpretation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청유 양태 표현의 문법 제약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Suggestive Imperative Modality in Korean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onent of the Mood -Focused on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od Category-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onent of the Mood -Focused on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od Category-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사설 문장의 종결어미(語尾)와 가야금 가락과의 관련성 고찰 -진양조로 불려지는 가야금 병창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 Word of a Sentence in Pansori Texts and the Melody of Gayageum -Based on Gayageum Byeongchang as sung in Chinyangjo-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연결어미에서 기원한 종결어미의 의미 연구 -‘-고/-는데’의 담화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final endings oriented from the connective endings-focus on the discourse-semantical functions of '-go' and '-neunde'.

한국어 의미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종결어미와 통합하는 ‘보다’ 구문에 대하여 - ‘-ㄴ가 보다’, ‘-ㄹ까 보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consisting of sentence final ending and ‘boda’ - Focusing on ‘-nga boda’ and ‘-lkka boda’-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종결어미와 통합하는 ‘보다’ 구문에 대하여 - ‘-ㄴ가 보다’, ‘-ㄹ까 보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consisting of sentence final ending and ‘boda’ - Focusing on ‘-nga boda’ and ‘-lkka boda’-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반말체 어미 '-게'의 문법화와 의미 변화

Grammaticalization and meaning change of Panmal style ending -ge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종결어미의 통시적 변화와 쟁점

A General Survey of Diachronic Change of Kore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