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698

STNet ID : 1000593

한자 : 語尾
동의어(UF) : 씨끝
영어 : ending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허사 [ 虛辭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접속 어미 () [ 接續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활용 어미 [ 活用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선어말 어미 () [ 先語末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범용 어미 () [ 凡容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형 어미 [ 名詞形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명사 어미 () [ 動名詞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형사형 어미 () [ 冠形詞形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종결 어미 () [ 終結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문법 어미 [ 疑問法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말 어미 () [ 語末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격 어미 [ 格語尾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연결 어미 () [ 連結語尾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씨끝의 성조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근 [ 語根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간 [ 語幹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굴곡 접사 () [ 屈曲接辭 ]

RT_X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용언 [ 用言 ]

RT_X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서술격 조사 [ 敍述格助詞 ]

강원 방언과 강원 문학 —문학 작품 속의 강원 방언의 특징—

Regional dialects and literature in Kangwon-do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활용에서의 유음 탈락ㆍ유음화의 선택적 적용

On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liquid deletion and lateralization in conjugation of Korea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활용에서의 유음 탈락ㆍ유음화의 선택적 적용

On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liquid deletion and lateralization in conjugation of Korea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술논문에서의 한국어 문법용어 영어 대역어 사용 양상

언어학 | 20 | 1 | 2012 | 언어학

일본어 동사활용형에 관한 재고 -학교문법과 일본어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日本語の動詞活用形に関する再考

일본어교육연구 | 20 | 2011 | 일본어교육

現代國語 形態素 {ㅅ}의 意味와 機能

The Basic Meaning and Function of Morpheme {ㅅ} in Contemporary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國語 形態素 {ㅅ}의 意味와 機能

The Basic Meaning and Function of Morpheme {ㅅ} in Contemporary Kore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部 方言의 ‘달라’와 ‘다오’ -靈巖 地域語와 慶州 地域語를 中心으로-

‘Dalla’ and ‘Dao’ of Korea Southern Dialect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部 方言의 ‘달라’와 ‘다오’ -靈巖 地域語와 慶州 地域語를 中心으로-

‘Dalla’ and ‘Dao’ of Korea Southern Dialect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어 동사활용형에 관한 재고 -학교문법과 일본어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日本語の動詞活用形に関する再考

일본어교육연구 | 20 | 2011 | 일본어교육

汉语的名词照应、人称代词照应与零形照应—以与韩国语的比较为中心

중국문학 | 70 | 2012 | 중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Using Korean Grammar Terms in English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유형

Analysis on Error Types in the Korean Writings of Chinese Foreign Student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학습자의 띄어쓰기 인식 양상 연구 - 의존명사와 어미, 의존명사와 조사의 관계를 중심으로 -

Some Aspects of Cognition in Spacing Words.

언어과학연구 | 62 | 2012 | 언어학

베트남인 학습자의 작문 오류 경향 분석 - 조사 · 어미를 중심으로 -

Grammatical Error analysis of Vietnamese learners's writing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계량적 연구

A quantitative Study on English Explanation of Grammatical Terms i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A Study on the Tables of Conjugation in Korean Dictionaries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A Study on the Tables of Conjugation in Korean Dictionaries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ㅂ쇼, -ㅂ시고, -(으)십사’에 대하여 - 형태 분석과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ding complexes ‘-psyo’ ‘-psigo’ ‘-(ɨ)sipsa’ in modern Korea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균형적인 문해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조사, 어미 및 구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Balanced Literacy Program to Use Abilities of Postposition, Ending and Syntactic for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어미’형과 ‘아비’형 친족어휘의 사적 고찰

The History of the linguistic forms eomi and abi in Korean Kinship Terminology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어미’형과 ‘아비’형 친족어휘의 사적 고찰

The History of the linguistic forms eomi and abi in Korean Kinship Terminology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해방 후의 일본번역극에 대한 고찰: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韓国における日本演劇の翻訳に関する研究 ─戦後から一九八〇年代までを中心に─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1960년대 이전의 문법에 반영된 한국어 교착성 인식의 변화 양상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agglutinativity reflected in Korean grammar before 1960s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준말에서의 어미 결합 제약에 대하여

On the nature of the restricted conjugation of reduced predicate form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위치에 따른 어미 분류 체계의 정립과 그 문제

Pre-final and Final Endings Based on Their Distribution in Korean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위치에 따른 어미 분류 체계의 정립과 그 문제

Pre-final and Final Endings Based on Their Distribution in Korean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중국인 유학생의 작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Errors in Korean Learners’ Postposition and Ending Use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Sentence Unit in the Textbook "Reading and Grammar"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말-’ 구성의 의미 기능

A Study of the meaning on the ‘mal-’ construction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이주민 여성들이 잘못 쓰는 조사와 어미

A study on the postposition․ending errors of women immigrants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이주민 여성들이 잘못 쓰는 조사와 어미

A study on the postposition․ending errors of women immigrants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어미와 선어말어미의 형태론적 처리: 점화실험을 중심으로

Morphological Processing of Final Endings and Pre-final Endings in Korean Verbs: Evidence from Priming Experiments.

언어과학연구 | 59 | 2011 | 언어학

결합형 어미의 양상 연구

The Study of Combined Endings' Condition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