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어말 어미

연구분야 : A110104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통사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32

STNet ID : 1002764

한자 : 先語末語尾
영어 : prefinal ending
기타 : 안맺음씨끝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비어말 어미 () [ 非語末語尾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미 () [ 語尾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구 내포문 () [ 名詞句內包文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말 어미 () [ 語末語尾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겠- () [-get-]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문법적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Grammatical Differeces between the First-edition and the Revised-edition of Dusi-Eonhae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 어미 ‘-시-’의 청자 존대 기능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Hearer Honorific Function of the Pre-Final Ending '-si-'

언어학 연구 | 23 | 2012 | 기타언어학

방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표현 비교 - 시제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The Comparison the Dialect Expressions of Grammar with Standard Language for Education of Korean for Foreign Learners

인문연구 | 63 | 2011 | 기타인문학

목적의 ‘-겠다고’에 대하여

On ‘-gessdago’ Expressing Purpose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결합형 어미의 양상 연구

The Study of Combined Endings' Condition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위치에 따른 어미 분류 체계의 정립과 그 문제

Pre-final and Final Endings Based on Their Distribution in Korean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위치에 따른 어미 분류 체계의 정립과 그 문제

Pre-final and Final Endings Based on Their Distribution in Korean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國語學≫ 50년−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Half a Century of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Present and Future of Syntax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Half a Century of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Present and Future of Syntax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Ten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Ten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사옵-’ 계열 선어말어미의 공시적 처리 방안

A synchronic description of the ‘-saop-’ class.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옵-’ 계열 선어말어미의 공시적 처리 방안

A synchronic description of the ‘-saop-’ class.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