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근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441

STNet ID : 1002997

한자 : 語根
영어 : root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등재소 [ 登載素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낱말 [word]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기 () [ 語基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간 [ 語幹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미 () [ 語尾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어 () [ 派生語 ]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도유럽어 어근 "pha-"와 "loq-"의 프랑스어 어휘 의미장 연구

Champs sémantiques des racines indo-européen "pha-" et "loq-" en français

프랑스어문교육 | 3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합성어에 대한 일고: 영어와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ounds Based on English and Russian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합성어에 대한 일고: 영어와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ounds Based on English and Russian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로리타’ 작품에 나타난 러시아어, 영어 동사의 비교연구 (1) -조어론적, 형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verbal expressions by English and Russian in the work of Lolita (1)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로리타’ 작품에 나타난 러시아어, 영어 동사의 비교연구 (1) -조어론적, 형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verbal expressions by English and Russian in the work of Lolita (1)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한자 어근 ‘순(純)’의 단어화와 화용화 - 단음절 한자 어근의 어휘사 -

Adnomial monosyllabic sino-korean modifier sun(純)and its acquisition of grammatical status and pragmaticalizatio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준접사의 조어 특성에 관하여

The word-forming characteristics of quasi-affixes in Modern Chinese

언어와언어학 | 48 | 2010 | 언어학

준접사의 조어 특성에 관하여

The word-forming characteristics of quasi-affixes in Modern Chinese

언어와언어학 | | 48 | 2010 | 언어학

‘X하다’와 ‘X를 하다’의 형태론과 통사론의 문제들

On the Morphology and Syntax of X-hada and X-leul hada in Korean

한글 | 292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