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

연구분야 : G110000 예술체육 > 무용

클래스 : 공연예술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115

한자 : 處容舞
영어 : Cheoyong`s dance

e01-05 공연예술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무용 (舞踊)

제작시대

신라 시대 (新羅時代)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지정일자_t

1971년 1월 8일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 [ --無形文化遺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궁중 무용 () [ 宮中舞踊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우선회무 [ 右旋回舞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처용 [ 處容 ]

역신(疫神)의 정체와 신라<처용가>의 의미 고찰

The Study about Original Form of Small Pox Goddess & the Meaning of Silla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

A Study on the Entertainment and Dances in Korean Ancient times

한국고대사연구 | 65 | 2012 | 한국고대사

현행 처용무 ‘상대무(相對舞)·상배무(相背舞)’ 춤동작의 무용서사 연구

A Study on the Epic of Sangdea Sangbae Dance in the Comtemporary Cheoyong-Danc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9 | 69 | 2011 | 무용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