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족

연구분야 : A020501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체질인류학(인류학)

클래스 : 민족/인종/종족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35

STNet ID : 1000837

한자 : 種族
영어 : ethnic group

a01-04-01 민족/인종/종족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호족 () [ 胡族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 인간 인간

인류 [ 人類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종족 갈등 () [ 種族葛藤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종족 음악 [ 種族 音樂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부족 [ 部族 ]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국가 · 민족 · 종족의 정치: 코트디부아르 정치위기의 사례

The Politics of State, Nation and Ethnicity: The Ivorian Case of Political Crisis

국제.지역연구 | 20 | 2 | 2011 | 정치외교학

顧頡剛과 孫晉泰의 歷史認識

顧頡剛和孫晉泰的歷史認識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民國時期 ‘親屬會議制度’와 전통관행의 衰落과 更生

民国时期的‘亲属会议制度’与式微中更生的传统习惯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명말 화북종족과 종족의 재구축 ―산동 청주 『重修邢氏宗譜』사례를 중심으로

Reconstruction of the Clan and Genealogy in North Chinain the Late Ming Dynasty —Taking the Revised Xing Genealogy of Qingzhou as Example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 가족․종족 관행의 전개와 변천 - 중국 가족․종족 자료집의 편찬과 의의 -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Chinese Family Practices : Significance and Compilation of Chinese Family Source Book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국가와 종족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조선족의 종족정체성: 대련시 조선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State and Ethnic in Korean-Chinese School of China: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Dalian Korean-Chinese School

비교문화연구 | 16 | 2 | 2010 | 인류학

국가와 종족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조선족의 종족정체성: 대련시 조선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State and Ethnic in Korean-Chinese School of China: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Dalian Korean-Chinese School

비교문화연구 | 16 | 2 | 2010 | 인류학

韓國人의 場所와 正體性: 韓國學을 위한 試論

The Relation between Place and Identity in Korea: A Preliminary Study for the Korean Studies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