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족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739

한자 : 胡族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종족 [ 種族 ]

B2:전체

BT (상위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오랑캐

전통시기의 紺岳山 숭배와 山神 薛仁貴

Sŏl In-gui, the Mountain God of Mt. Kamaksan in Traditional Times

역사학연구 | 42 | 2011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23 | 2010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 23 | 2010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Social Undergoing and Later Three Kingdoms(後三國) in the Age of the Late Silla(新羅) and the Early Goryeo(高麗)

한국중세사연구 | 29 | 2010 | 역사학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Social Undergoing and Later Three Kingdoms(後三國) in the Age of the Late Silla(新羅) and the Early Goryeo(高麗)

한국중세사연구 | | 29 | 2010 | 역사학

<옥수기> 속 호족이라는 이민족 형상의 특징과 의미

The characteristic & meaning of representation of different ethnic group of Hojok-non-Hanjok (Chinese)- appearing in Oksuki(玉樹記)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 -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Local Society and Its Authority During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 Essay on the Continuity of the Local Powers in the Rural Society-

한국중세사연구 | 29 | 2010 | 역사학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 -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Local Society and Its Authority During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 Essay on the Continuity of the Local Powers in the Rural Society-

한국중세사연구 | | 29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