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384

STNet ID : 9009516

한자 : 訓民正音解例本
음차어 : Hunminjeongeum Haeryebon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국보 (國寶)

유형/장르

해설서

제작자

세종 (世宗)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간송미술관 (澗松美術館)

소장처(자)

전성우

관리자(처)

간송미술관 (澗松美術館)

지정호수_t

국보 제70호

지정일자_t

1962.12.20

주소_t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 간송미술관)

제작(설립)년도_t

1446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훈민정음 () [ 訓民正音 ]

N1:종류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중성해 [ 中聲解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후음 [ 喉音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훈민정음언해 () [ 訓民正音諺解 ]

<훈민정음 언해본>의 번역학적 연구

A Translatological Study on Hunminjeongeum eonhaebon

언어과학연구 | 54 | 2010 | 언어학

<훈민정음 언해본>의 번역학적 연구

A Translatological Study on Hunminjeongeum eonhaebon

언어과학연구 | | 54 | 2010 | 언어학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oto materials of Hunminjeongeum(focu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