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Changes of Historical Facts in the Making of History of Goryeo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Changes of Historical Facts in the Making of History of Goryeo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遼海編』의 史料的價値
Several Values as the Historical Materials of Liao-hai-pien(遼海編)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遼海編』의 史料的價値
Several Values as the Historical Materials of Liao-hai-pien(遼海編)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鳳來儀」 악장 연구(1) − 樂舞 명칭의 典據와 악장 내용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ong'rae'eui Akjang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 군주시가(君主詩歌)의 재조명
The Rethinking of poems of Kings from korean literary history
국제언어문학 |
23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Changes in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Yun Gwan and Nine Fortresses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s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조선조 초기 정몽주·길재 표창과 그 의의
朝鮮朝初期襃獎鄭夢周·吉再以及其意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語文敎育의 人文學的 基盤과 指向
The Humane Basis and the Pursuit of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15세기 불전언해의 시대적 맥락과 그 성격 - 간경도감본 언해불전을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Context and Nature of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in the 15th Century - Focusing on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조선조 초기 정몽주·길재 표창과 그 의의
朝鮮朝初期襃獎鄭夢周·吉再以及其意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15세기 불전언해의 시대적 맥락과 그 성격 - 간경도감본 언해불전을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Context and Nature of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in the 15th Century - Focusing on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과학이라는 전통의 창출과 홍이섭의 조선시대 과학사 연구
Inventing a Scientific Tradition in Korean History: Hong Yi-Sup’s Historiography of Chosŏn
역사교육 |
118 |
2011 |
역사학
등운이론과 훈민정음 28자모의 음운성격- 창제동기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漢語等韻學與訓民正音28字母體系的音韻性質- 以創製動機和創製目的爲中心
중국어문논역총간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등운이론과 훈민정음 28자모의 음운성격- 창제동기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漢語等韻學與訓民正音28字母體系的音韻性質- 以創製動機和創製目的爲中心
중국어문논역총간 |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15세기 불전언해의 시대적 맥락과 그 성격 - 간경도감본 언해불전을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Context and Nature of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in the 15th Century - Focusing on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King Sejong’s Buddhist View and Confucian Statecraft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King Sejong’s Buddhist View and Confucian Statecraft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Changes in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Yun Gwan and Nine Fortresses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s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King Sejong’s Buddhist View and Confucian Statecraft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King Sejong’s Buddhist View and Confucian Statecraft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세종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The Process of King Sejong’s Military Actions toward Tsushim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2 |
2012 |
기타인문학
史劇에 나타난 세종의 왕위 계승 과정과 인식의 변화 -<용의눈물>과 <대왕세종>을 중심으로-
Awareness in Historical Dramas: the case of 'Tears of the Dragon' and 'the Great King Sejong'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s' Movement and Legal Discretionary Power- Focusing on the Cases of King Jeongjo and King Soonjo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讓寧大君 관련 기록의 형성과 변이 양상
Record Formation and Variation Aspect Relevant o Yangnyeongdaegun(讓寧大君)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讓寧大君 관련 기록의 형성과 변이 양상
Record Formation and Variation Aspect Relevant o Yangnyeongdaegun(讓寧大君)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史劇에 나타난 세종의 왕위 계승 과정과 인식의 변화 -<용의눈물>과 <대왕세종>을 중심으로-
Awareness in Historical Dramas: the case of 'Tears of the Dragon' and 'the Great King Sejong'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讓寧大君 관련 기록의 형성과 변이 양상
Record Formation and Variation Aspect Relevant o Yangnyeongdaegun(讓寧大君)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甲子 上疏文의 텍스트언어학적 分析 硏究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Gapja Appeal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Two way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鄕藥)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in the Chosŏn(朝鮮)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Two way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鄕藥)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in the Chosŏn(朝鮮)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Two way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鄕藥)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in the Chosŏn(朝鮮)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Two way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鄕藥)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in the Chosŏn(朝鮮) Dynasty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甲子 上疏文의 텍스트언어학적 分析 硏究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Gapja Appeal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의 문제점:‘甲子 上疏文’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ext Selection: Focused on the case of Gapja Appeal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세종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The Process of King Sejong’s Military Actions toward Tsushim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2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세종 조 중앙 정부조직의 운영에 관한 연결망 분석 - 조선왕조실록의 자료를 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Euijeong Bu Decision-Making System in Chosun Dynasty
한국정책학회보 |
20 |
4 |
2011 |
정책학
조선시대 온양 행궁의 건립과 변천 과정
Buildings and Transition Process of OnYangHengGung(溫陽行宮) in Josun Dynasty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의 문제점:‘甲子 上疏文’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ext Selection: Focused on the case of Gapja Appeal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종과 「소학(小學)」: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의 교화
King Sejong and 「Sohak(小學)」: The Enlightenment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세종의 형법사상
Sejong's Perspectives on Criminal Law
고려법학 |
59 |
2010 |
법학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Zhu Xi’s Theory of Heterodoxy and King Sejong’s Thinking of Zhongyong: Focusing on the Arguments over the Sarigak at Heungcheonsa Temple
Korea Journal |
52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사씨남정기>의 인물 재조명
Re-illumination of the Characters in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른바 세종이 정한 「통고 사성도」에 대하여
On the Whole List of Chinese FourRhyme Sounds Supposedly Composed by King Sejong in the 15th Century, with Reference to YunSeok Hwang’s Self Reference for Knowledge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세종과 「소학(小學)」: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의 교화
King Sejong and 「Sohak(小學)」: The Enlightenment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
The Creation of Hunmin jeong eum by King Sejong and Korean Concepts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세종대왕의 유불화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micable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TV드라마의 역사적 인물 소환 전략 - <뿌리 깊은 나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Figure Summoning Strategy from TV Drama - Centering on -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중용](中庸)과 세종(世宗)의 정치: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Zhongyong and King Sejong's Politics: Focusing on 'Jiuji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조선 초기 『明皇誡鑑』과 『內訓』 - 여성에 대한 서책 간행과 왕권의 안정
Books for Woman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Publish The Lesson through in the Ming emperor and The Inner Teaching in the Early Chosŏn
남도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Introduction to in the King Sejong's Period and Its Effect on Reorganization of Court Music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세종과 「소학(小學)」: 민풍(民風)과 사풍(士風)의 교화
King Sejong and 「Sohak(小學)」: The Enlightenment of Minpung(民風) and Sapung(士風)
대한정치학회보 |
2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
The Creation of Hunmin jeong eum by King Sejong and Korean Concepts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세종대왕의 유불화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micable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