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71

STNet ID : 1000658

한자 : 龍飛御天歌
한자 : 龍飛御天歌
음차어 : Yongbieocheonga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악장 () [ 樂章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송축가 [ 頌祝歌 ]

R1:개념적

RT (관련어)

 

 

용비어천도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세종 (1418-1450) [ 世宗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치화평 [ 致和平 ]

RT (관련어)

 

 

취풍형 () [ 醉豐亨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여민락 () [ 與民樂 ]

致和平譜에 반영된 중세어 성조에 대하여

On Middle Korean tones reflected in the musical score of Chihwapyeng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致和平譜에 반영된 중세어 성조에 대하여

On Middle Korean tones reflected in the musical score of Chihwapyeng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숙종 후반기 北道 사적 인식과 정비 논의

Recognition of the history and vestiges of the Northern region(北道), and discussions to honor and renovate them,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역사와경계 | 76 | 2010 | 역사학

숙종 후반기 北道 사적 인식과 정비 논의

Recognition of the history and vestiges of the Northern region(北道), and discussions to honor and renovate them,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역사와경계 | | 76 | 2010 | 역사학

숙종 후반기 北道 사적 인식과 정비 논의

Recognition of the history and vestiges of the Northern region(北道), and discussions to honor and renovate them,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역사와경계 | 76 | 2010 | 역사학

숙종 후반기 北道 사적 인식과 정비 논의

Recognition of the history and vestiges of the Northern region(北道), and discussions to honor and renovate them,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역사와경계 | | 76 | 2010 | 역사학

이야기, 문학, 역사

Narrative, Literature, and History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이야기, 문학, 역사

Narrative, Literature, and History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龍飛御天歌》正音 表記 地名과 漢字語 地名의 對立, 變遷에 관한 硏究 ~·쇠 · : 淵遷 · 金遷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Opposition and Transformation of Native Toponym Words and Sino-Korean Toponym Words in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

The Creation of Hunmin jeong eum by King Sejong and Korean Concepts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한국 중세 서사시의 서사 구성 방식과 장르적 특질

Narrative composition method and genre status of Korean medieval epic poem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 중세 서사시의 서사 구성 방식과 장르적 특질

Narrative composition method and genre status of Korean medieval epic poem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불편함의 정치학: 영진 리의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Politics of Discomfort: Young Jean Lee's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불편함의 정치학: 영진 리의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Politics of Discomfort: Young Jean Lee's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