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515

STNet ID : 1000580

한자 : 樂章
음차어 : Akjang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악장문학 [ 樂章文學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교술 문학 [ 敎述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가 () [ 詩歌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려가요 () [ 高麗歌謠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경기체가 () [ 景幾體歌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궁중 음악 () [ 宮中音樂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악부 [ 樂府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악원고사 [ 樂院故事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용비어천가 () [ 龍飛御天歌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동방곡 [ 靖東方曲 ]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Ways of Textlinguistic Approach on Middle Korean Text and the Practice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중세국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과 실제

Ways of Textlinguistic Approach on Middle Korean Text and the Practice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A Study on Yurimga(儒林歌)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樂章歌詞本 漁父歌> 再考

A Study o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樂章歌詞本 漁父歌> 再考

A Study o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이든의 교향곡에 나타난 악장유형

The Structures of Movements in Haydn's Symphonies

서양음악학 | 13 | 1 | 2010 | 음악학

하이든의 교향곡에 나타난 악장유형

The Structures of Movements in Haydn's Symphonies

서양음악학 | 13 | 1 | 2010 | 음악학

世祖의 ‘樂章’ 革新運動과 그 守成의 美學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The guard(守成) and a reform movement of the movement(樂章) for The klng Sae-jo(世祖)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天命의 역설, 정도전의 武德曲 연구

Emphasis on Preallotment, Study of Jeong, Dojen’s ‘mueokgok’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