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연구분야 :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409

STNet ID : 1001249

한자 : 訓民正音
기타 : Hunminjeongeum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음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자 () [ 文字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반치음 [ 半齒音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만리 () [ 崔萬理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R] 고유 문자설 () [ 固有文字說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제자 원리 () [ 製字原理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세종 (1418-1450) [ 世宗 ]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With a Focus on Texts Transcribed with Chinese-Borrowed Characters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Korea: With a Focus on Texts Transcribed with Chinese-Borrowed Characters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글 우수성, 독창성, 과학성에 대한 통합 연구

The Intergrated Research On the Excellence, Originality and Scientific qualities of Hangeul(Hunminjeongeum)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Several Issues on the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개신어문연구 | 35 | 2012 | 현대시(국문학)

고대 동아시아 북방민족의 漢化에 대한 고찰 ― 언어와 문자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68 | 2011 | 중국어와문학

한글 우수성, 독창성, 과학성에 대한 통합 연구

The Intergrated Research On the Excellence, Originality and Scientific qualities of Hangeul(Hunminjeongeum)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문화 번역 - 『훈민정음』(1446)과 『글자의 혁명』(1947)을 바탕으로-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Korean and Cultural Translations Therein : A Study on Hunminjeongeum (1446) and Revolution of Letters (1947)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한자 육서의 자소론적 연구

The Graphemic Correlation between Hunminjeongeum and Liu-shu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문화 번역 - 『훈민정음』(1446)과 『글자의 혁명』(1947)을 바탕으로-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Korean and Cultural Translations Therein : A Study on Hunminjeongeum (1446) and Revolution of Letters (1947)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적성이론에 의한 ‘ㅇ’의 통시적 변화 연구

A study of ‘ㅇ’s diachronic change in Optimality Theory

언어연구 | 25 | 4 | 2010 | 언어학

최적성이론에 의한 ‘ㅇ’의 통시적 변화 연구

A study of ‘ㅇ’s diachronic change in Optimality Theory

언어연구 | 25 | 4 | 2010 | 언어학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한자 육서의 자소론적 연구

The Graphemic Correlation between Hunminjeongeum and Liu-shu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의 문제점:‘甲子 上疏文’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ext Selection: Focused on the case of Gapja Appeal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甲子 上疏文의 텍스트언어학적 分析 硏究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Gapja Appeal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음운학 교육의 콘텐츠 모형 개발 연구 - 한국 한자음을 중심으로

Developing contents model of on education of Chinese phonology-By Focusing on Korean-Chinese character phonetic

비교문화연구 | 21 | 2010 | 문학

중국어음운학 교육의 콘텐츠 모형 개발 연구 - 한국 한자음을 중심으로

Developing contents model of on education of Chinese phonology-By Focusing on Korean-Chinese character phonetic

비교문화연구 | 21 | | 2010 | 문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의 문제점:‘甲子 上疏文’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ext Selection: Focused on the case of Gapja Appeal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순경음 ‘ㅱ’의 종성 표기에 대하여

The Orthography of Final Sound 'ㅱ'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순경음 ‘ㅱ’의 종성 표기에 대하여

The Orthography of Final Sound 'ㅱ'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甲子 上疏文의 텍스트언어학적 分析 硏究

A Textlinguistic Analysis of the Gapja Appeal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계 속의 한글의 위상을 위한 몇 가지 고찰 - 외래어 표기를 위한 훈민정음의 능동적인 활용방안-

Quelques réflexions pour un statut des lettres phonémiques coréennes, Hangeul dans le monde -Quelques propositions sur la réutilisation d’anciennes lettres de Hun‑Min‑Jeong‑Eum pour la transcription de langues étrangères-

영상문화 | 15 | 2010 | 학제간연구

『洪武正韻譯訓』 훈민정음 표기 ‘ᅨ’의 음운론적 대응

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the Transcribed ‘ᅨ’ in Hongmujeongun Yeokhun

구결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

Cultural Significance of Vernacular Translation Project in Early J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문화 번역 - 『훈민정음』(1446)과 『글자의 혁명』(1947)을 바탕으로-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Korean and Cultural Translations Therein : A Study on Hunminjeongeum (1446) and Revolution of Letters (1947)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haracter Combination and the Ideology of Science of I Ching in Hunminjeongeum: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Yin-yang nd Five Elements & the Principles of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haracter Combination and the Ideology of Science of I Ching in Hunminjeongeum: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Yin-yang nd Five Elements & the Principles of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

The Creation of Hunmin jeong eum by King Sejong and Korean Concepts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훈민정음 창제에 나타난 세종의 이상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와 원전 해례본과의 비교를 통해-

The Utopia of Sejong Appeared in the Hunminjeongum Invention -Through the Drama “Deeply Rooted Tree” and the Principle of Hunminjeongum Invention-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洪武正韻譯訓』 훈민정음 표기 ‘ᅨ’의 음운론적 대응

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the Transcribed ‘ᅨ’ in Hongmujeongun Yeokhun

구결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haracter Combination and the Ideology of Science of I Ching in Hunminjeongeum: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Yin-yang nd Five Elements & the Principles of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문화 번역 - 『훈민정음』(1446)과 『글자의 혁명』(1947)을 바탕으로-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Korean and Cultural Translations Therein : A Study on Hunminjeongeum (1446) and Revolution of Letters (1947)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

Cultural Significance of Vernacular Translation Project in Early J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洪武正韻譯訓』 훈민정음 표기 ‘ᅨ’의 음운론적 대응

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the Transcribed ‘ᅨ’ in Hongmujeongun Yeokhun

구결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Status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Eonhae project in Early age of Ch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ritten Language Culture and Hunminjeongeum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ritten Language Culture and Hunminjeongeum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訓民正音 中聲의 審美構造 考察

The Aesthetic Structure Focusing on the neutral consonant in 『Hunminjeongum』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훈민정음』을 통한 근대한어관화의 음운층위 탐구

중국언어연구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훈민정음』을 통한 근대한어관화의 음운층위 탐구

중국언어연구 |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초성, 중성, 종성의 자질과 훈민정음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Features and Hunminjeoneum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성, 중성, 종성의 자질과 훈민정음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Features and Hunminjeoneum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Status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Eonhae project in Early age of Ch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따른 한글 자모 교육

Hangul Alphabet Education according to inventional principle of ‘Hunminjeongeum’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훈민정음』 ‘서문’의 두 가지 번역 - 15세기와 20세기

Two translations of Hunminjeongeum Preface - 15th century and 20th century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북쪽 국어학자의 훈민정음 연구 분석과 학문적 계보

Analysis on Hunminjeongeum research of the northern scholars and their academic tendenc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등운이론과 훈민정음 28자모의 음운성격- 창제동기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漢語等韻學與訓民正音28字母體系的音韻性質- 以創製動機和創製目的爲中心

중국어문논역총간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등운이론과 훈민정음 28자모의 음운성격- 창제동기와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漢語等韻學與訓民正音28字母體系的音韻性質- 以創製動機和創製目的爲中心

중국어문논역총간 |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ritten Language Culture and Hunminjeongeum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ritten Language Culture and Hunminjeongeum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북쪽 국어학자의 훈민정음 연구 분석과 학문적 계보

Analysis on Hunminjeongeum research of the northern scholars and their academic tendenc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서문’의 두 가지 번역 - 15세기와 20세기

Two translations of Hunminjeongeum Preface - 15th century and 20th century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언해의 문법 인식

A Study on grammatical consciousness of 『Hunminjeongeum』eonhe

우리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