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진회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387

STNet ID : 1005168

한자 : 一進會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우치다 료헤이 [ 内田良平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한일 합병 [ 韓日合倂 ]

아동 청소년의 폭력범죄 현황 및 개선방안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 and Youth’s Crimes of Violence and Methods of Improvement

동북아법연구 | 6 | 2 | 2012 | 비교법학

한말 호남지방 야학운동과 사회교육적 성격

The free night-school movement & characteristic of social-education in Honam area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114 | 2010 | 역사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 114 | 2010 | 역사학

동아시아 3국 근대 민권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modern civil right movement in East Asia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친일 정치가로서 이인직의 위치와 합방 정국에서 그의 역할

The Position of Lee Injik as a Pro-Japanese Politician and His Activit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친일 정치가로서 이인직의 위치와 합방 정국에서 그의 역할

The Position of Lee Injik as a Pro-Japanese Politician and His Activit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말 ‘민권’ 용례와 분기 양상

Examples of ‘Civil Righ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Divergent Aspects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

社員 池圭植의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을 둘러싼 시국 인식

Jigyusik(池圭植)'s recognition and confrontation about contemporary situation in 1904~1905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동학이단교파 제우교의 성립과 친일활동

A study on foundation and pro-japanese activities of Jaewookyo

동학학보 | 20 | 2010 | 역사학

동학이단교파 제우교의 성립과 친일활동

A study on foundation and pro-japanese activities of Jaewookyo

동학학보 | | 20 | 2010 | 역사학

국권상실에 대한 일진회의 인식 -문명화론과 합방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Ilchinhoe(一進會)’s Recognition of the Loss of ‘sovereignty(國權)’ -Centering in Relationship of Civilization theory and Annexation theor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대한제국 말기『국민신보』의 특성과 역할:민족지와의 대립 관계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Kookmin Shinbo’ in the End of the Daehan Empire Focusing on the Confronting Relationship with Nationalistic Newspapers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